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재래시장, 정치인 사진찍고 뭐 달라졌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아시아경제 ]재래시장은 명절 때 깜짝 각광 받는 대표적인 곳이다. 올해 설 명절에는 설빔을 준비하는 서민뿐 아니라 정치인, 정치 지망생들이 줄지어 시장을 찾았다. 선거가 가까워졌다는 신호다. "서민들이 힘들어 했다." "대목 분위기가 없었다." "정치 얘기를 꺼냈다가 혼쭐났다." 정치인들의 체험담이 이곳저곳 언론에 소개됐다. 민심을 실감했다, 재래시장을 살리고, 민생을 열심히 챙기겠다고 그들은 이구동성 다짐했다.


재래시장이 정치인들의 '사진찍기 명소'로 자리 잡은 지는 오래다. 대통령도 찾고, 국회의원도 찾는다. 언제나 서민을 앞세우고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다짐했다. 시장이 민심의 바다라고 생각한 때문이다. 결과를 보면 그런 말은 '정치적인 사탕발림'에 지나지 않았다. 재래시장은 대형 유통업에 계속 밀려났다. 영세상인의 설 자리는 갈수록 좁아졌다.

중소기업청과 업계에 따르면 전통시장은 2003년 1695곳에서 2010년 1517곳으로 7년 새 178곳이 없어졌다. 점포 수는 24만여개에서 20만1358개로 줄었다. 매출은 1999년 46조원에서 2010년 24조원으로 반토막 났다. 이에 반해 대형 할인점 3사의 매출은 같은 기간 7조원에서 33조원으로 4배 넘게 뛰었다.


동네의 영세 슈퍼마켓도 대기업 유통업체의 희생양이 됐다. 대기업의 기업형 슈퍼마켓(SSM)과 편의점이 지역상권을 장악한 것이다. 상생법 등의 제동이 걸리자 다양한 편법도 등장했다. 그 결과 대기업 자회사가 운영하는 편의점은 2006년 9928개에서 2011년 2만650개로 늘었다. SSM은 234개에서 928개로 급증했다. 반면 동네 슈퍼마켓은 매년 4000개 이상 문을 닫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이 재래시장 활성화를 외쳐온 지 수십년째다. 현실은 거꾸로다. 유통시장 환경의 변화를 무시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재래시장의 몰락을 보고만 있을 것인가. 재래시장의 위기는 곧 서민의 위기다. 영세상인의 생존권이 걸려 있다. 전통과 문화가 살아 있는 곳이다.


가장 큰 문제는 힘의 논리로 재래시장과 골목상권이 죽어간다는 점이다. 대기업의 무차별적 사업 확장과 편법적인 골목상권 장악을 차단해야 한다. 대기업의 공존, 상생정신이 절실하다. 여기에 더해 소비자들의 애정은 큰 힘이 될 것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