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 용산 등지에서 불법 유통시킨 업체 10여곳 적발돼
[이코노믹 리뷰 박영주 기자]
LG전자 휴대폰 배터리 일부가 불법 유통돼 회사 측이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10여개 업체가 관련됐으며, 회사 측에 따르면 피해 규모는 3000여만원에 달한다.
23일 업계와 LG전자에 따르면, LG전자는 최근 자사 휴대폰 배터리와 액세서리 등의 불법 유통을 확인하고, 관련 업체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여 상표권 침해로 경고조치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이 밝힌 유통 규모는 휴대폰 배터리와 액세서리를 포함, 20여개 품목의 2000여대로 액수로 환산하면 3000여만원 상당이다. 이를 유통시킨 업체는 LG전자와 계약을 맺은 서비스점(A/S센터) 1곳을 포함, 모두 10여곳에 달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LG전자는 이번 주 초부터 조사를 본격화 했다. 회사 측은 조사 결과, 중간 유통을 담당하는 서비스점 한 곳에서 이를 반출, 소매상들에 전달·판매한 것으로 보인다며, 배터리 제조공장이나 보관창고에서 유통된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들 제품들은 주로 영등포와 용산 등지에서 판매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조사 대상 업체들에게는 경고조치가 내려졌으며, 재발 시 계약 해지 입장을 통보한 상태다. 회사 측은 악의적인 불법 유통 사례가 지속될 경우 형사고소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조사가 계속되고 있어, 유통 규모는 더 늘어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LG전자 관계자는 “상표권 침해 업체들을 대상으로 경고장을 발송했다”며 “이 같은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관리감독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단속은 LG전자 특허센터에서 이뤄지고 있다. 특허센터 특허전략그룹에서는 이 회사MC사업본부의 상표, 저작권 및 이른바 짝퉁으로 불리는 페이크(Fake)) 상품 단속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짝퉁’폰 단속은 중국을 비롯, 동남아시아 등에서 비교적 활발하다.
이코노믹 리뷰 박영주 기자 yjpak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