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3년… ‘LTE폰’ 재난문자 서비스 가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9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2013년 1월1일부터는 외국에서 생산돼 국내에 판매·보급된 휴대폰에도 재난문자방송 서비스가 제공된다.


16일 소방방재청은 LTE 휴대폰의 재난문자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메시지 형식 등에 관한 국내표준이 전 세계의 이동통신시스템 규격을 정하는 3GPP(3rd Generation Patnership Project) 총회에서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국내에 판매·보급되는 외국산 LTE 휴대폰도 재난문자방송 서비스 기능을 탑재하게 된다. 표준에 따르면 재난문자방송 서비스 지역은 시·군·구 단위로 전송해야한다. 또한 기존통화의 단절이 없어야하고 사용자의 영향에 관계없이 재난문자를 단말기에 팝업으로 표시해야한다. 재난문자 메시지에 대한 최대 180byte(한글 90자)까지의 전송기능도 필요하다. 단 기존 2G 휴대폰은 120byte(한글 60자)다. 이밖에 단말기의 전력소모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범위내에서 메시지 전송시간은 최대한 짧아야한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LTE(4G) 재난문자 송출시스템과 이동통신사의 CBC((수신·전송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신기 제조사는 재난문자 수신 프로그램을 개발 탑재해 내년에 서비스 시험 및 안정화를 거쳐 2013년 1월1일부터 전면 서비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