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 10년후 최대 59조원<자본시장硏>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아시아경제 지선호 기자] 한국형 헤지펀드가 출범 초기에는 위험성향이 강한 개인 고액자산가(HNWI)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지만 점차 기관투자자들이 핵심 수요층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13일 자본시장연구원 김재칠 펀드·연금실장은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헤지펀드에 대한 직접투자(최소 5억원)가 가능한 국내 고액자산가는 순자산 기준 1%정도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최상위 소득계층은 부동산 등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높아 직접 헤지펀드에 투자할 수 있는 계층은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 때문에 대부부의 개인 투자자들은 재간접 헤지펀드를 통해 투자할 전망이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재간접 헤지펀드 수요가 상위 5% 정도일 것으로 전망했다.


김 실장은 “초기 헤지펀드는 극도의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일부 고액자산가 이외에 운용업자에 의한 자기자본투자로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형 헤지펀드의 주요 고객은 초창기 개인 고액자산가에서 점차 기관투자자로 바뀔 것이라는 전망도 뒤따랐다.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한 공적 연기금과 각종 사적 연기금, 금융기관 등의 자산규모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반면 투자가능 자산이 제한적이라는 것. 이 때문에 기관투자자가 장기적으로는 분산투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헤지펀드의 핵심 수요층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 실장은 “국민연금 등 연기금은 보수적으로 자산운용을 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투자를 결정하기 위한 단계가 많기 때문에 투자에 나서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말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한국형 헤지펀드의 시장 규모가 자산기준으로 5년후 10조~24조원, 10년후에는 23조~59조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10년간 전 세계 일반 공·사모펀드 대비 헤지펀드의 비중을 측정해 향후 시나리오를 대입한 결과다.


일반펀드의 성장이 연평균 5%이면서 헤지펀드가 저성장 할 때 10년 뒤 헤지펀드 시장은 23조원 정도지만, 일반펀드가 연평균 10%로 성장하고 헤지펀드도 고성장을 해나가면 헤지펀드의 순자산 규모가 59조원까지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실장은 “기존 공사모 펀드의 시장 규모에 따라 헤지펀드도 동시에 성장한다”며 “헤지펀드의 비중이 공사모 펀드 규모의 8% 내외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한편, 높은 헤지펀드 운용업자 인가 기준과 헤지펀드 설정·등록지로 서 매력도를 감안하면 외국인들이 국내에 헤지펀드를 적극적으로 설정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또 신생 헤지펀드나 소규모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자들의 거부감 때문에 당분간 한국형 헤지펀드가 외국인 투자자를 유치하기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 실장은 “다만 지리적 이점이 있기 때문에 트랙레코드(실적)이 축적되면 앞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선호 기자 likemo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