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SF 확대 세부안 마련 속도 높일듯..그리스 구제금융 집행 여부 논의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지난 3~4일 프랑스 칸에서 열렸던 G20 회의에서 사실상 유로존 부채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뾰족한 해법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장은 이제 7~8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그리스 구제금융 1차 6회분 지원 여부와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확대와 관련한 세부사항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로존 재무장관들이 7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EFSF 강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상황이 그만큼 다급해졌다는 것이다.
통신은 이탈리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재무장관들이 EFSF 확대와 관련한 세부사항들을 당초 예정보다 한달 빠른 11월 말까지 마련하려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유로존 관계자는 "원래 계획은 올해 말까지 세부사항을 준비할 예정이었지만 세부사항 완료에 대한 속도를 높여야만 한다는 인식이 있다"며 "지난주 그리스 사건 후 시장의 불안감이 높아졌고 우리는 다음에 무엇이 일어날지 알지 못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탈리아와 같은 국가들에 대한 압박을 감안하면 이탈리아는 상당한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달 말까지 EFSF 확대와 관련된 세부 사항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유럽연합(EU) 정상회의 합의안 마련 후 이탈리아 10년물 국채 금리는 오히려 급등하고 있다. 때문에 EU 정상회의 합의안의 성패 여부가 이탈리아 국채 금리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주 이탈리아 10년물 국채 금리는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6.4%(종가 기준)에 육박했다.
많은 시장관계자들은 이탈리아 10년물 국채 금리가 7%를 넘어가면 이탈리아 정부의 자금 조달 비용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구제금융을 요청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탈리아의 줄리오 트레몬티 재무장관은 이번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에서 지난달 말에 마련한 공공 자산 매각, 고용법 변경, 연금 개혁 등이 포함된 개혁안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또 다른 유로존 관계자는 "지난 몇 일간 이탈리아 국채 금리가 얼마나 올랐는지를 본다면 이탈리아에 대한 압력이 매우 커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모든 당사자들이 EFSF 레버리지에 대한 작업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는데 동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 3~4일 프랑스 칸에서 열렸던 G20 정상회의 후 EFSF 확대 세부 이행계획을 빨리 마련해야 할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
EU 정상회의에서는 EFSF 규모를 확대키로 동의하고 중국과 브라질 등 신흥국들의 지원을 이끌어내기로 합의가 이뤄졌는데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지난 G20 정상회의 후 EFSF에 참여하겠다는 G20 국가들이 거의 없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일부 국가들은 EFSF 확대와 관련해 세부 사항들이 마련되면 지원하겠는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제통화기금(IMF)이 참여하면 IMF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국가들도 일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이번 회의에서는 EFSF 확대 세부방안과 관련 IMF의 참여 여부에 대한 논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IMF의 유럽 책임자인 안토니오 보르게스가 이번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유로존 관계자는 "솔직히 유로존은 IMF의 참여를 원하고 있다"며 "IMF만 참여하면 다른 국가들도 참여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에반겔로스 베니젤로스 그리스 재무장관도 최근 그리스 상황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차기 구제금융 지원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유로존 관계자는 "베니젤로스 그리스 재무장관의 설명 후 차기 구제금융분 집행 여부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이라며 "그리스 정부의 합의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면 차기 구제금융분은 지급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EU은 그리스가 우선 지난달 말 정상회의 합의안에 대을 먼저 수용해야 차기 구제금융 집행이 이뤄질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리스는 차기 구제금융 집행분인 80억유로를 받지 못하면 내달 중순께 디폴트(채무 불이행)에 직면하게 된다.
박병희 기자 nut@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