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딴나라'로 쇄신하셨습니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여당, 재보선 후 '민심돌리기' 당내 의견 갈등 증폭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버핏세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중이다"(한나라당 쇄신파) "전혀 사실이 아니다"(이주영 정책위의장)
"중앙당사를 폐지해 원내 정당화를 추진해 보겠다"(홍준표 대표) "국민 누구도 관심을 갖지 않는 정치적 쇼다"(원희룡 최고위원)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 이후 한나라당이 사분오열 되고 있다. 당 쇄신을 추진하려다 오히려 당내 분란만 키우는 모양새다. 해법은 백가쟁명식이다. 6일 민주당에서조차 꺼려했던 부유세 주장이 한나라당 한 쇄신파 의원으로부터 터졌다. '한국판 버핏세'를 도입하자는 게 핵심이다.

버핏세는 미국의 억만장자 워런 버핏이 지난해 미국 정부가 부유층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공개 촉구하면서 생겨난 신조어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겨냥해 '친(親) 부자ㆍ대기업', '부자정당'의 이미지를 탈색시키고자 하는 급박함이 역력했다. 당 지도부는 논란이 일기 전에 싹부터 잘랐다.


당 쇄신을 주도해야 할 지도부 역시 분란만 일으키고 있다. 홍준표 대표는 중앙당사를 없애 원내정당화를 꾀하고, 19대 총선 비례대표를 최근 유행하는 공개 오디션식으로 뽑겠다는 쇄신카드를 꺼내들었다. 하지만 말이 떨어지기 무섭게 최고위원들은 반발이 일었다. 7일 오전 한나라당 최고위원회의는 홍준표 대표 성토장이었다.

유승민 최고위원은 "지난 주말 언론에서 (홍 대표의) 쇄신방안을 접하고 어느 국민이 이 정도로 쇄신을 인정해주겠나 굉장히 놀랐다"며 "이 정도로는 어림도 없다. 공천이나 외부영입 문제 등 형식이 아니라 본질에 대한 쇄신안이 나와야 한다"고 했다. 원희룡 최고위원 역시 "당내에서 사전 설명이나 논의도 없이 쇄신안이 발표되는 걸 보면서 일방적인 당 운영부터 바꿔야겠다는 것을 절감했다"고 홍 대표를 비판했다. 그러면서 "당사 축소나 비례대표 공개 오디션에 어떤 자기변화와 자기 희생 들어있나"고 반문하며 "도돌이표 쇄신 아이디어는 이벤트에 불과하다"고 평가절하했다.


전선은 청와대로까지 확대됐다. 구상찬 김성식 김세연 신성범 정태근 의원 등 5명의 초선 의원이 주도한 가운데 쇄신파 의원 25명은 6일 현 정부의 실정에 대한 이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를 요구하는 서한을 청와대에 전달했다.


정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과거처럼 대통령 탈당을 요구하는 길로 가지 않을 것이다. 이명박 정부의 공과 과를함께 짊어지고 가겠다"고 하면서도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권이라고 한 점, 내곡동 사저 문제, 성장 지표뿐만 아니라 서민의 민생고를 헤아리지 못한 점 등에 대한 진정성 있는 대통령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이번에 문제 제기한 의원들을 포함해 국정을 책임지는 우리 모두가 고민하고 해법을 모색할 문제"라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불쾌함을 감추지 못했다.


한나라당은 7일 당 쇄신안과 관련 "한미 FTA 문제가 끝난 후 원내 및 원외 합동 연찬회를 열어서 끝장토론을 거친 후 최고위원회의에서 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8대 국회 들어와 매번 쇄신의 중심에 섰던 수도권 한 초선의원은 "이런 식의 중구난방이면 쇄신이 될 리 없고 국민들도 기대하지 않을 것"이라며 "한미 FTA, 예산안 처리를 하고 난 후 결국 공천과정에서 모든 갈등이 폭발할 것"이라고 했다.




심나영 기자 sn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