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韓醫學)은 우리 고유의 전통의학이다. 현대의학이라 할 수 있는 서양의학이 도입되기 전에는 우리 민족의 삶을 치유해주는 주된 축이었다. 그러나 가시적이고 신속한 결과를 보여주는 특성 때문에 서양의학이 질병치료와 보건의료 분야의 대세를 이루고 있다. 반면에 전통의학은 아직까지도 일부에서 서양의학의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건강수호자였던 한의학은 옛날 드라마나 역사교과서 등을 통해서나 등장하는 형국이 되어가는 듯했다.
그러나 절대적인 치료방법이라고 여겼던 현대의학도 한계에 부딪히게 되면서 새로운 치료방법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다름 아닌 질병의 원인과 예방을 다루는 전통의학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한의학은 길게는 수천년에 걸쳐 임상적으로 우수한 치료의학으로서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해왔다. 그러나 한약 또는 한방 처방들에 대한 안전성과 과학적인 효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이를 이용하는 국민들에게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의학은 끊임없이 근거중심의학으로서의 명확한 근거를 요구받고 있다.
현대의학은 성분 함량, 적응증, 용법, 용량, 부작용 및 주의사항, 보관방법, 유효기간 등의 정보를 명확히 제시해 줌으로써 이용자들이 신뢰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약 또한 신뢰받는 의약품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현대의학에서 요구하고 있는 위와 같은 내용을 객관적으로 증빙함으로써 유효성과 안정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근거중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한의학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는 한방의료기관에서 처방하고 있는 복용 한약들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에 나서고 있다. 처방의 기원과 구성 약재 및 구성비, 각 처방에 사용되는 구성 한약의 기원, 처방 중의 지표ㆍ유효 성분의 함량 기준, 임상 및 실험 연구결과의 유효성, 위해 물질 및 독성에 관한 안전성 등에 대한 검증 마련을 위해 한방 처방을 표준화해 의약품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가장 많이 처방하고 있는 대표적인 복용 한약들이자 국민건강보험 급여처방 1순위인 오적산, 한방의료기관 처방 1순위의 육미지황탕, 대표적인 보약 중 하나인 십전대보탕 등에 대한 KGLP 기준에 따른 독성 시험을 실시했다. 전탕 전후 잔류농약, 잔류 이산화황 및 중금속 등의 위해물질을 분석한 결과, 위해물질이 전탕이라는 과정을 통해 한약재 자체의 함량보다 낮거나 아예 검출되지 않았고, 대부분의 위해물질은 한약재 찌꺼기에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도 더 많은 과학적 근거 제시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단발성이거나 연구로서만 그치지 않고, 이에 대한 홍보와 사용자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한방처방에 대한 문헌, 표준화, 안전성, 유효성 등에 대한 과학적인 정보를 일괄적이고 총합적으로 정리하고, 한방처방에 대한 세포실험(in vitro), 동물실험(in vivo), 임상시험(clinical trial)에 대한 한국, 중국, 일본의 의약품 정보까지 망라한 '표준한방처방 의약품 정보'를 발간했다. 교육프로그램과 정보제공은 현장에 있는 한의사 및 한방제약회사 등의 관계자들이 환자 진료 및 한약제 제품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는 한의학이 오랜 세월 동안 성숙과 발전을 거듭하고 경험적 과정을 거치면서 독창적이고 우수한 이론체계에 근거한 의학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이제 한의학은 그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해 가고 있다.
서창섭 한약EBM연구센터 선임연구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