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저축銀 대주주 교체 등 생존 몸부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계열사 매각 몸집 줄이기···특단의 자구책 마련 분주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요즘 저축은행 행장들의 모습이 가히 목불인견(目不忍見)이다. 불과 몇 개월 새 얼굴엔 주름살이 더 늘고, 머리도 희끗희끗해졌다. 저축은행 부실 및 비리문제가 연일 사회적 이슈화되고 금융당국의 감독 소홀이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불거지면서 정부가 '경영진단'이란 강력한 메스를 들이대고 있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오너 및 경영진들은 1972년 저축은행 설립 이후 40년 동안 요즘처럼 힘든 때가 없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금융당국 막판 분류=현재 금융당국은 85개 저축은행에 대한 경영진단을 마무리하고 각 저축은행에 사전 통보 단계에 들어갔다. 금융당국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5% 미만인 저축은행에 대해 경영개선계획을 받고, 경영평가위원회를 통해 부실 대상과 유예 대상을 추려낼 계획이다. 이 결과 부실 대상에 포함되면 적기시정조치를 받아 경영개선요구, 경영개선 명령(영업정지)을 받을 수 있다. 반면 유예 대상은 3개월 안에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들은 금융당국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살아남기 위한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특히 부실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일부 대형 저축은행들은 대주주 유상증자를 모색하는 등 건물과 자산매각, 계열사 매각 등 특단의 조치로 대주주 교체까지 염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 몸집 줄이기=수도권에 본점을 둔 A저축은행은 모기업의 상황이 악화되자 계열저축은행 매각을 추진 중이다. 이 저축은행은 만약 계열사 매각이 일정 기한 내에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주주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는 방안도 고려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강남에 본사를 둔 B저축은행도 상황은 마찬가지. 이 저축은행은 일단 대주주 유상증자와 자산매각을 통해 건전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지만 계열사 매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남에 본사를 둔 C저축은행과 강북에 본사를 둔 D저축은행도 대주주 유상증자를 계획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강동에 본사를 둔 E저축은행은 건물과 자산매각을 통해 유동자금을 확보하는 등 재무구조 개선과 경영 정상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반면 강남에 본사를 둔 F저축은행은 모기업의 워크아웃에도 불구 정상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 외자 유치에 나서고 있지만 상황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강남에 본사를 둔 G저축은행은 인수합병(M&A)계획이 수포로 돌아가면서 어려움에 봉착했다.


저축은행 한 행장은 "힘든 상황의 연속이지만 은행을 살리기 위해 모든 힘을 쏟아 부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호 기자 kwa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