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야4당, 한 번에 풀기엔 복잡한 '통합방정식'

시계아이콘01분 2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합치면 해볼 만하다." 2012년 총선과 대선을 앞둔 야권의 연대ㆍ연합의 종착역은 한나라당과 1대1 구도를 만드는 것이다. 지난 4ㆍ27 재보선에서 단일화된 지역에서의 승패는 51대 49의 싸움이었다.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이 연대ㆍ연합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도 승률을 높이기 위해서다.


문제는 통합의 방정식이 간단치 않다는데 있다. 야4당 모두 자당에 유리한 구도를 만들기 위한 '묘책' 마련에 분주하다. '페이퍼 정당(서류상의 임시정당)'에서 '정파등록제'까지 다양한 방안들이 쏟아지고 있다. '백가쟁명(百家爭鳴)'식의 방식이 쏟아지는 것은 역설적으로 야권의 통합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야권의 통합 논의의 과정은 한나라당과 맞설 단일대오 결성에 앞서 세부적으로는 민주당과 비민주당 구도의 소통합으로 흘러가고 있다. 민노당-진보신당-참여당이 통합해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민주당과의 후보 단일화 협상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들 군소정당들은 지난해 6ㆍ2 지방선거를 시작으로 크고 작은 재보선을 치렀지만 민주당 후보와 단일화 경쟁이 간단치 않다는 것을 체감한 상황이다.


몸집을 키우지 않고서는 군소정당의 원내교섭단체(국회의원 20인이상) 구성이 불가능한 게 현실이고, 교섭단체 중심으로 운영되는 국회 특성상 자파의 목소리를 낼 공간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서는 군소정당 간 통합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하지만, 이들 3개 정당 내부에서도 통합에 대한 온도차가 분명하다. 민노당과 참여당은 새로운 진보정당 통합에 적극적인 반면, 진보신당은 참여당의 참여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유시민 참여당 대표는 최근 진보신당의 반발을 의식한 듯 참여정부의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사과한데 이어 노동유연화 정책에 "거듭 반성한다"고 자세를 낮췄다. 반면, 조승수 진보신당 대표는 "참여당의 결정은 사과라기보다는 변명에 가깝다"며 "조직적 성찰의 개념도 이해 못하는 세력과 무엇을 논의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뒤늦게 야권통합특위를 구성하고 야4당 통합을 위한 '정파등록제'를 제안하며 통합논의에 뛰어들었다. 현실적으로 가능하리라 판단했던 참여당과의 통합이 무산될 위기에 놓이면서 야권통합의 주도권을 놓칠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야3당이 뭉쳐 세를 불릴 경우 내년 총선 연대를 위해서는 더 많은 지역을 양보할 수 있다는 현실적인 고민도 무관치 않다.


민주당의 대통합론에 대한 야3당의 반응은 싸늘하다. 우위영 민노당 대변인은 "야권연대도 못하면서 통합하자는 것은 초등학생이 대학시험을 치르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고, 유 대표는 "참여당과 민주당 사이에는 상대를 존중하고 배려하면서 대화를 나눈 적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냈다.
 하지만 하나의 둥지 안에 여러 정파가 공존하는 이른바 '빅 텐트론'에서 출발한 '정파등록제'에 대해 야4당이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김민전 경희대 정치학과 교수는 "야권의 다양한 정당들이 갑자기 하나의 정당으로 통합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선거 막판에 가서 연합하는 모습도 바람직하지 않다"며 "민주당이 다른 작은 정당에 대한 진정성을 갖고 큰 우산 아래 각 정당들이 고유의 색깔을 가진 정당으로 등록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김달중 기자 da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