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대重 드릴십, 국내 첫 동해 심해 유전개발 투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9월부터 신규 동해 대륙붕 개발 시추작업
2004년 개발된 동해가스전에도 현대중 해양설비가 생산中
우리 땅서 우리 기술과 노력으로 자원개발 시추와 생산, 운영까지


현대重 드릴십, 국내 첫 동해 심해 유전개발 투입 현대중공업이 독자 설계기술로 제작한 드릴십
AD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우리 국토의 첫 상용 유전인 동해 대륙붕 심해 유전 개발에 현대중공업이 건조한 드릴십이 투입된다.


이로써 한국은 순수 독자 기술로 근해는 물론 심해 자원개발을 추진해 ‘에너지 자립의 꿈’에 한 발 더 나아갔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08년 2월 딥씨 메트로로부터 수주해 최근 건조를 마무리 한 드릴십이 우리나라가 실시하는 동해 대륙붕 석유?가스개발을 위한 시추공을 뚫기 위해 오는 9월부터 투입된다고 30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심해를 시추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드릴십이 국내 자원개발에 사용되는 것도 처음이며, 특히 한국 조선소가 건조한 드릴십이 직접 투입되는 것이어서 의미가 크다. 이번에 시추하는 8광구 지역은 사전조사 결과 탐사자원량이 0.7TCF(1TCF는 천연가스로는 2100만t, 석유로는 1억7000만배럴을 의미)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동해 가스전에는 지난 2004년 현대중공업이 제작·설치한 해상 가스생산설비가 설치돼 우리나라 일일 가스 소비량의 5배에 달하는 연간 약 200억입방피트(ft3/LNG 환산 40만t)의 액화천연가스(LNG)와 35만 배럴(bbl)의 초경질유(컨덴세이트)가 생산되고 있다.


이번에 시추작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우리 땅에서 우리 기술과 노력으로 천연자원의 시추 개발과 생산, 운영까지 담당하는 에너지 자립의 꿈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 드릴십은 해수면으로부터 최대 12.2km까지 시추가 가능해 세계 최고의 시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드릴십 전용설계로 선박의 크기를 최적화해 연료 효율을 높였다. 핵심설비인 스러스터도 선상에서 수리가 가능해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줄여 선주사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동해에 투입되는 드릴십은 현재 최종 시추작업에 필요한 원격 조종무인잠수정과 드릴 파이프 등을 설치하고 있으며, 오는 9월부터 4개월간 1000m 깊이 심해 유정의 시추작업을 진행한다.


현대重 드릴십, 국내 첫 동해 심해 유전개발 투입 지난 2004년 현대중공업이 완공해 동해 가스전에 설치한 해상 가스생산설비


현대중공업 조선해양부문은 올해 수주 전략의 핵심 키워드를 ‘에너지자원 개발’에 두고 있다. 이에 따라 고부가가치 선박의 대표인 드릴십을 비롯해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LNG선과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LNG-FSRU) 등 직접적으로 원유 및 가스 등 에너지 자원을 개발, 활용하는데 이용되는 선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심해저 에너지 개발시장은 향후 2020년 1800억달러, 2025년 3000억달러, 2030년 4400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돼 향후 심해 원유·가스자원개발과 관련된 조선, 해양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현재 LNG-FPSO, 차세대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 LNG추진 선박 등 에너지자원개발 선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올 상반기 조선해양플랜트 부문(현대삼호중공업 포함)에서 총 63척 148억달러를 수주해 연초 목표 198억달러의 75%를 달성하며 수주 순항을 하고 있다.




채명석 기자 oricm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