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터넷 도메인 대변혁.. 마음대로 짓는다

시계아이콘01분 4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 지금까지 ***.com, ***.co.kr 등으로 형식을 지켜야 했던 인터넷 웹사이트 주소(도메인)가 사실상 자유화된다. 지역·기업·사람 이름까지 원하는 대로 지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인터넷 사용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변화지만 막대한 비용이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세계 인터넷도메인 관리정책을 총괄하는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은 20일(현지시간) 싱가포르 회의에서 최상위 도메인에 거의 모든 언어를 이용해 어떠한 단어도 쓸 수 있도록 허용하는 안을 통과시켰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이 보도했다.

모든 컴퓨터는 다른 컴퓨터와 구분되도록 고유 주소를 하나 이상 갖고 있다. 그러나 192.168.xxx.xxx 처럼 네 도막의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는 사용자가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www.asiae.co.kr처럼 문자열을 사용한 도메인을 사용한다. 여기서 끝에 붙는 com, net, org같은 성격구분이나 co.kr(한국), co.jp(일본) 처럼 국가를 표시하는 마지막 부분이 최상위 도메인이다. 바로 이 부분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기업이나 국가기관은 종전의 고정된 형식 대신 원하는 명칭을 최다 63자(알파벳 기준)까지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asiae’ ‘.hyundai’ ‘.seoul’ ‘.korea’ 등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barackobama’ 처럼 개인 이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드 벡스트롬 ICANN 최고위원은 “이번 결정은 온라인 도메인 질서 대변혁의 서막”이라면서 “ 인간의 상상력과 창조력에 따른 무한한 가능성이 지금의 인터넷 주소명 체계를 바꾸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기업체나 국가기관은 더욱 효과적인 브랜드 마케팅이 가능해지게 됐고 도메인 거래시장의 규모도 훨씬 커질 것으로 보인다. ICANN은 2012년 1월12일부터 4월12일까지 1차 신청을 직접 받을 것을 것이라고 밝혔다. 2차 접수도 예정되어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일자는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ICANN은 1월에 첫 접수가 시작되면 500~1000개 기업이 신청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캐논과 히타치 등이 관심을 표명한 상태다.


그러나 공짜는 아니다. 기본 접수 및 심사비용이 일단 18만5000달러(약 2억원)이다. 거기에 더해 신청 기관·업체는 300페이지에 달하는 신청서를 작성하고 변호사나 컨설팅전문가를 고용하는데 2만5000~5만 달러, 새 도메인 도입에 따른 시스템 운영비용으로 연간 2만5000~7만5000달러가 추가로 든다. 또 ICANN에도 연간 2만5000달러의 사용료를 납부해야 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도메인서비스업체 톱레벨도메인홀딩스의 앤토니 반 쿠버링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초기비용에만 50만달러(약 5억4100만원)가 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상당한 비용 때문에 모토로라나 이케아 같은 업체들은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안하자니 뒤쳐질까 두렵고 하자니 너무 부담이 큰 ‘계륵’같은 존재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원하는 도메인이 겹치는 경우면 가격은 더 올라갈 수도 있다. FT는 그 예로 프랑스텔레콤의 자회사인 영국 오렌지텔레콤과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도메인 ‘.orange’를 놓고 다툴 경우 도메인 몸값이 오르게 된다고 설명했다. ‘apple’ 처럼 기업명과 고유명사가 겹치는 경우, 국명이나 지명 같은 경우 이같은 상황이 자주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법무법인 스콰이어샌더스해먼즈의 크리스 맥러드 상표권전문변호사는 “이번 신청에 참여하건 아니건 간에 기업체들에게는 이번 발표가 당분간 두통거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 인터넷도메인정책을 총괄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일부 기업체와 기관들도 ICANN의 이번 발표 전부터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원하는 기업체들은 해당 기간에 ICANN에 직접 신청할 수 있다”면서 “KISA가 신청을 대행할 수도 있겠지만 공공기관이라는 한계가 있으므로 국내 기업들이 직접 신청하는 것이 세계 시장 진출을 노리는 데 더욱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영식 기자 gr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