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코레일, ‘KTX 안전종합대책’ 마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7초

국토부 후속조치로 고장 우려 11개 부품 내년까지 바꿔…안전관리조직 사장 직속으로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코레일이 ‘KTX 안전종합대책’을 마련, 시행에 들어간다.


코레일은 국토해양부가 내놓은 KTX안전강화 대책을 바탕으로 견인전동기 등 11개 고장 우려 부품을 내년까지 바꾸고 안전관리조직을 사장직속으로 두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또 고속철도 안전지침을 항공기 수준 이상으로 강화키 위해 ‘제도개선 전담팀(TF)’을 운영할 계획이다. 올 상반기 중 △의사전달체계 표준화 △작업자·보고자의 책임 명확화 △이례 사항조치 매뉴얼 간결화도 추진한다.


◆KTX 차량고장 최소화=코레일은 KTX의 경우 견인전동기, 동력접촉기, 축상베어링 등 고장이 우려 되는 11개 부품을 내년까지 모두 바꿀 예정이다. 여기엔 약 887억원이 들어간다.

견인전동기의 경우 552개 중 352개는 바꿨고 200개는 올해 중 교체한다. 동력접촉기는 1656개 중 150개가 바꿨으며 1506개는 올 연말까지 바꿀 예정이다. 축상베어링은 3편성이 교체됐고 43편성은 내년에 바꾼다.


차축베어링 등 핵심부품 467개는 신뢰성을 분석, 교체주기를 다시 산정하고 꾸준히 특별 관리한다. KTX 1편성당 차량부품은 약 3만5000개에 이를 만큼 많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KTX-산천의 경우 고장이 되풀이 되는 공기배관 등 10개 부품은 모두바꾸고 기술적으로도 보완한다.

형광등소켓, 트리포드 감속기 등 3종은 조치가 마무리 됐다. 공기배관, 모터블록, 공기조화장치 등 6종은 올 상반기 중 새 것으로 바꿀 방침이다. 주변압기 보완은 38개 중 25개가 끝났고 13개는 올 연말까지 한다.


코레일은 고속철도차량기지에 늘 머무는 KTX-산천 제작사인 현대로템의 하자 및 품질관리조직을 늘려 안전운행을 꾀한다. 현재 73명인 직원이 96명으로 는다.


코레일은 고속철도차량의 기술력 확보를 위해 엔지니어링조직과 인력을 보강하고 산·학·연 기술교류 및 발표회를 매달 열 계획이다.


특히 프랑스, 일본 등 철도선진국과 항공분야 정비시스템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해 항공기 수준의 정비체계 구축방안을 오는 12월까지 마련한다. IT(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고장코드 무선전송시스템을 활용, 정비품질도 높인다.


◆철도시설 안전성 강화=고속철도 개통 전인 2001년부터 운용해 노후화 되고 있는 1단계 구간의 전기시설물은 정밀검측차를 이용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이어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개량한다.

손을 볼 신호설비는 △궤도회로장치(579곳) △전자연동장치(2곳) △선로전환기(164대)이다. 전철전력설비는 자동장력장치(720곳), 애자류 등이 개량된다. 들어가는 돈은 약 611억원.


신호설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선로전환기를 제어하는 선로변기능모듈(TFM)을 2013년까지 이중화해 열차가 달리는 중 멈추거나 운행이 늦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오송역, 김천구미역, 고모역, 신경주역, 울산역, 노포역(154개 모듈)이며 90억원이 들어간다.


선로전환기 동작 상태를 원격 감시할 수 있는 주요 부품별 실시간감시시스템도 갖추고 유지보수전담팀도 운영한다.


◆안전관리체계 다시 갖춰=코레일은 수송안전실 조직을 수송과 안전으로 나눠 안전관리조직을 사장직속으로 둬 독립성과 기능을 강화한다. 수송안전실에서 ‘안전실’을 떼어내 다음 달까지 사장직속부서로 재편한다.


기능분야별 전문가(16명)로 이뤄진 기동안전점검팀을 운영한다. 이 팀은 규정위반, 안전위해행위를 뿌리 뽑고 시설과 장비운영의 지도감독을 강화한다.


유지보수작업별 사고(장애)발생 위험성을 평가해 위험등급을 설정한다. 위험등급별로 작업자 자격기준, 작업절차, 입회·확인자 지정기준 등을 만든다.

오는 10월까지 작업별 위험성을 평가하고 유지보수작업 절차서를 11월까지 만들 계획이다.


코레일은 유지보수업체에 대한 관리도 크게 강화한다. 회사선정 때 공사규모별 기술자격 보유기준을 높여 기술력과 시공경험을 갖춘 업체가 선정될 수 있게 적격심사기준도 보완한다.

공사규모별 기술자격자 보유기준을 현재 2~8명에서 5~16명으로 늘린다. 2억원 이상 고속철도공사는 고속철도 시공실적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운행선 공사 중 사고를 일으킨 회사는 감점을 준다.


코레일은 지난해 국내 철도운영기관 최초로 들여온 위험도 분석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SMS)을 활용, 체계적인 안전관리활동 지원매뉴얼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현장실용화에 힘써 자율적 안전관리체계로 돌릴 방침이다.


직원의 전문성과 기술력 확보를 위해 국내·외 전문기관에 위탁교육하고 인적오류를 막기 위해 프로그램들도 개발한다.


◆‘안전 최우선 문화’ 확립=코레일은 고속철도 안전지침을 항공기 수준 이상으로 강화하기 위해 ‘제도개선 TF’팀을 운영할 계획이다.


올 상반기 중 ‘의사전달체계 표준화’, ‘작업자·보고자의 책임 명확화’, ‘이례사항 조치 매뉴얼 간결화’를 추진한다.


코레일 관계자는 “광명역 탈선사고를 큰 교훈으로 삼아 절대 안전한 세계 최고의 국민철도를 만드는데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