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日정부, '대정전 막자' 전력사용량 통제 고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아시아경제 공수민 기자] 일본 정부가 도쿄도의 대정전 사태를 막기 위해 기업과 가계의 전력사용량을 강제적으로 통제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갑자기 닥친 한파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이에다 반리 일본 경제산업상은 17일 오후 기자회견을 통해 “강제적으로 전력사용량을 줄이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경제산업성은 전력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각각의 산업부문에 전력사용 할당량을 강제적으로 부여하는 방침을 고려하고 있다. 또 전광판 사용을 제한 조치도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도쿄전력과 현재 진행 중인 제한송전 확대 가능성도 논의할 계획이다.


일본 정부의 요청에 따라 일부 기업들이 전력 사용량을 줄이고 있고, 전철 등에서도 전력 사용량을 낮추고 있어 일단 대규모 정전 사태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후지모토 다카시 도쿄전력 부사장은 17일 “실제 전력 사용량은 총 3050만킬로와트(kW)로, 예상했던 4000만kW에 못 미친다”고 밝혔다. 현재 도쿄전력의 전력공급능력은 3400만kW다.


그러나 도쿄전력은 한파로 전력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전력 사용 피크타임인 오후 6~7시에 정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후지모토 부사장은 "18일 기온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보돼 전력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전력 수요가 4000만kW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도쿄전력은 이르면 18일, 19~21일 3일간 이어지는 연휴동안 정전을 실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21일은 춘분절로 일본의 공휴일이다.


이처럼 일본 정부가 전력 사용량 감축을 압박하면서 조업을 중단하는 대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도시바는 17일 도쿄전력의 관할 지역 내에 있는 모든 공장에서 조업을 중단하고 직원들을 오후 5시에 퇴근시켰다. 다만 후쿠시마 원전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와 장비, 서비스를 생산하는 공장과 사무실을 대상에서 제외됐다.


철강업체 신일본제철은 무계목강관을 생산하는 도쿄 공장 가동을 오후 5~8시 동안 중단했다.


반도체장비업체 도쿄일렉트론은 도쿄 본사와 공장 등에서 근무하는 3700명의 직원들을 조기 귀가 조치했고, 야마나시현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히타치는 도쿄 본사와 사무실에서 일하는 직원들에게 오후 5시께 퇴근할 것을 지시했고, 캐논과 리코, 후지필름은 긴급한 업무를 담당하지 않은 직원들을 조기 귀가시켰다. 미쓰비시중공업과 스미토모금속공업도 비슷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공수민 기자 hyunh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