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3부터 일년 수능 두 번 본다

수능개편안 발표..국·영·수 선택 응시 가능


[아시아경제 김도형 기자]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부터는 수능을 일년에 두 번 보게 된다. 또 국어·영어·수학 과목은 난이도가 다른 A형과 B형시 험을 수험생들이 선택해 응시하게 된다.

중장기 대입선진화 연구회(총괄위원장 성태제)는 19일 오후 이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수능개편안을 발표한다.


이날 발표되는 개편 방안에 따르면 현재 중학교 3학년인 학생들이 수학능력시험을 보게 되는 2014학년도에는 수능이 11월 중에 2회로 나누어 실시된다. 시험 간격은 15일 정도로 시험 범위는 달라지지 않는다. 수험생들은 나은 성적을 선택해 대학 입학 전형에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수험생은 1회만 시험에 응시할 수도 있다.

시험 체계는 기초영역 ▲국어(A,B) ▲영어(A,B) ▲수학(A,B), 탐구영역 ▲사회탐구영역 ▲과학탐구영역 ▲직업탐구영역으로 조정된다. 제2외국어 및 한문 영역은 현재 시험 방식을 유지하는 방안과 수능에서 분리하는 방안을 앞으로 선택하게 된다.


또 학생들은 기초영역 국어, 영어, 수학 과목에서는 A형과 B형을 선택해 시험을 보게 된다. B형 문제를 보다 어렵게 출제하면서 수험생들은 자신의 성취도와 진학목표 등에 따라 선택해 시험에 응하게 되는 것이다.


연구회 측은 국어와 수학 과목에서는 A형과 B형을 다르게 선택하도록 강제한다는 방침이다. 결국 인문계 학생은 ‘국어심화, 수학기초’, 자연계 학생은 ‘국어기초, 수학심화’ 형태로 시험을 보게 해 계열선택을 명확히 하겠다는 것이다.


1차와 2차 시험에서 과목의 종류와 난이도를 다르게 선택할 수 없게 하되 탐구영역(사회탐구, 과학탐구)에서는 서로 다른 과목을 응시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탐구영역의 시험 과목도 줄어든다.


사회탐구 영역의 경우 현재 11개 시험과목 중 최대 4과목을 선택할 수 있지만 2014학년도에는 지리, 일반사회, 한국사, 세계사, 경제, 윤리 등 6개 시험과목 중 1과목을 선택하게 된다.


과학탐구영역도 현재 8개 시험과목 중 최대 4과목 선택에서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 4과목 중 1과목 선택으로 바뀌고 직업탐구영역 역시 농생명산업, 상업정보, 수산·해운, 공업, 가사·실업 등 5과목 가운데 1과목만을 선택해 치르게 된다.


한편, 시험의 성격도 현재의 ‘통합교과형’에서 ‘성취도평가형’으로 바뀐다.


연구회 측은 “사실 지금도 국어와 영어를 빼면 교과 범위 안에서 출제하고 있다”면서 “통합교과형으로 복잡하게 내는 것보다 보다 넓은 범위 안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출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성적표 기재 방식은 표준점수, 등급, 백분율 등을 표시하는 현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고 표준점수 산출방식 개선을 통해 1,2차 시험의 점수가 동등화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대학, 교육청, 학부모단체, 연구기관, 고등학교, 유관기관, 사회계 등 33명의 인사들로 구성된 중장기 대입선진화 연구회는 3개 분과(입학전형개선 분과, 입학사정관제 분과, 수능체제개편 분과)로 나뉘어져 지난해 10월부터 약 10개월간 이번 수능개편안을 포함하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김도형 기자 kuerte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