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오전 6시 주민들 찾고 오후 구청장실서 2시간 동안 주민 만나는 등 주민 섬기는 행정 몸소 실천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인터뷰]박겸수 강북구청장(51)은 오전 6시가 되면 동네 골목골목을 찾는다. 강북구민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달려가 “박겸수입니다”라고 인사한다.
그러면 주민들도 “우리 구청장 오셨다”며 반기면서 “이런 것 좀 고쳐달라”고 요청한다.
박 구청장은 구민과의 ‘소통’을 몸으로 실천하는 구청장이다.
이 것 뿐 아니다.
매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구청장 문을 활짝 열어 놓고 주민들과 대화의 시간을 갖는다.
강북구청사에는 ‘구민이 주인되는 행정으로 강북의 새로운 미래를 열겠다’는 큼직한 플래카드가 두 개 걸려 있다.
이를 박 구청장이 스스로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9일 오후 가진 기자와 인터뷰 직전에도 재개발지역 주민 5명이 다녀갔다.
박 구청장은 “주민들과 만나 ‘할 수 있는 것은 할 수 있다’고, ‘안되는 것은 안되니 다른 대안을 찾아보라’고 얘기해준다. 그러니 주민들도 매우 좋아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박 구청장은 이들의 하소연을 들어보니 “마음이 너무 아프다”고 말했다.
$pos="C";$title="";$txt="박겸수 강북구청장 ";$size="550,825,0";$no="2010081007202285347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한 주민은 현재 37평 주택에 사는데 재개발할 경우 27평 아파트로 가면서 1억7000만원을 더 내야 한다고 하소연하면서 이 돈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겠느냐고 울더라는 얘기다.
박 구청장은 “구청장 자리를 남들은 ‘좋은 자리’ ‘영광의 자리’라고 말들 하지만 막상 맡아보니 너무 많은 분들이 힘들어 하는 것을 보니 ‘힘든 자리’”라고 솔직하게 말했다.
그러나 박 구청장이 젊음과 열정을 무기로 주민들의 진솔한 얘기를 들어주니 구민들로서도 “이런 구청장 처음 봤다”고 칭찬하는 소리가 자자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주민들의 답답한 하소연을 들어주는 일이 박 구청장의 요즘 주요 일과다.
이와 함께 박 구청장은 또 다른 고민이 있다.
이 고민은 앞의 고민과 차원이 다른 고민이다.
다름 아닌 무상급식 실시를 위한 재원 마련 문제.
박 구청장은 “행정은 예산이고 나머지는 서비스”라고 정의했다. 행정을 하려면 돈이 필요한데 돈이 없으면 어떻게 행정을 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박 구청장은 “제1호 선거공약인 무상급식을 내년 시행하려면 당장 수십억원 정도 소요돼 구청, 교육청, 서울시 예산을 들여야 하는데 경기 침체 등으로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특히 내년 예산의 경우 부동산 취,등록세 급감 등으로 구 예산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여 벌써부터 걱정이 태산같다고 전했다. 서울시, 서울시의회 등과 협의해 강북구에 더 많은 예산 지원이 될 수 있도록 뛰어야 할 입장이다.
그러나 박 구청장은 ‘복지,교육 1등구’를 만들기 위해 또 다른 방안 찾기에 나섰다.
‘일자리가 곧 바로 최고 복지’라는 신념을 가진 박 구청장은 적극적인 일자리 발굴과 정책추진을 위해 ‘일자리정책추진단’을 신설했다. 어르신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적기업지원센터와 사회적 기업 지원에도 힘쓸 계획이다.
이를 테면, 교사 출신 등 전문직 퇴직자들에 대한 인적 인프라를 구축해 아이들 교육과 일자리 창출 모델을 만들어보겠다고 밝혔다.
아이들을 가르치게 하면서 어르신들에게는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서로 윈윈하는 모델을 만들어보겠다는 것이다.
또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교육청 등과 협의해 아이들의 소질을 파악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박 구청장은 “초등학교 2학년때 소질을 파악해 발전시켜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은 프로그램을 만들겠다고 소개했다.
박 구청장은 복지와 교육은 마인드를 조금 바꾸면 적은 예산으로 많은 결과물(아웃풋)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소신을 갖고 있다.
강북구에서 서울시의원을 8년 보낸 박 구청장이 어떤 모습의 ‘새로운 강북구’를 만들어 낼지 주민들 기대가 크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박종일 기자 dream@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