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통령전용기 수주업체 "보잉이냐 에어버스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한국 대통령전용기 수주를 위해 보잉과 에어버스이 맞붙었다.


방위사업청은 23일 "지난 5월 26일 공고한 대통령 전용기 입찰제안서 제출기간이 내달 3일 마감된다"며 "지명경쟁으로 보잉사와 에어버스의 모기업인 유럽항공우주방위산업(EADS)이 제안서를 제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사청은 대통령 전용기 수준의 항공기를 생산할 능력을 보유한 회사는 보잉사와 EADS 두 곳밖에 없어 업체를 지정하는 지명경쟁을 실시했다. 방사청은 두 회사로부터 받은 제안서를 토대로 올해 10월까지 제시 기종을 시험평가하고 가격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또 올해 12월 말까지 기종을 선택해 3년간의 제작기간을 거쳐 2013년에 전력화된다.


올해 국방부는 대통령 전용기 구입을 위해 예산 142억원을 국방예산에 포함됐다. 지휘기(정부 전용기)명목으로 방위력 개선비에 편성된 대통령 전용기 구입예산은 당초 정부 제출 예산안에는 빠졌으나 국회 국방위 예산 심의 과정에서 140억원으로 책정됐었다.

방사청은 명실상부한 새 대통령 전용기로 보잉 787급 혹은 에어버스 340급 이상의 중형기를 도입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정부는 대통령전용기구입이전에 임대하기로 결정하고 오는 8월부터 4년간 대한항공으로부터 보잉 747-400 기종을 임차할 예정이다.


'공군의 1호기'로 불리는 대통령전용기는 1985년 전두환 전 대통령 때 도입한 보잉 B-737-300 기종으로 정원 41명에 비행거리가 2~3시간밖에 되지 않는다.


보잉 B-737-300 기종은 1974년에 도입된 쌍발 터보프롭 쌍발기인 BAE 748 VIP수송기 대체용으로 1980년대 중반에 도입됐다. B-737-300 기종은 지휘통제용 위성통신장비를 탑재하고 대공미사일 공격 방어용으로 레이더 경보수신기와 채프·플래어 발사기를 탑재하고 있다.


하지만 항속거리가 짧아 주변국가 방문 때만 운용하고 국내에서는 대통령 전용헬기인 VH-60헬기를 운용했다. 대통령이 해외순방 때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사에서 번갈아가며 항공기를 임대해 쓴다. 지난 10년간 청와대는 비행기를 53번 임차했고, 1회당 평균 13억 4900만원을 지출했다. 이렇게 임대한 비행기료만 김대중 정부 때 278억원, 노무현 정부 때 414억원이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