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상반기 아파트값은 '다운' 전세값은 '업'

전국 아파트값 0.21%↓..강남 1.40%↓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올해 상반기 아파트 시장은 2008년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상황이다. 실물경기를 비롯해 부동산경기가 여전히 어려운데다 버블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www.DrApt.com)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변동률은 -0.76%로 지난해 같은 기간(-0.21%)보다 0.55%포인트 낮아졌다. 이와 반대로 전세가는 2.73%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해 지난해 동기(0.57%)보다 2.16%포인트 상승했다.

◆수도권매매 1.31% 하락, 수도권 하락세 가장 커


수도권 매매변동률은 -1.31%를 기록해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 같은 기간(-0.11%)보다 무려 1.2%포인트 낮았다. 신도시가 -3.41%로 하락폭이 컸던 점이 전반적인 하락세에 영향을 미쳤다.

서울은 0.83% 내렸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강남권이 1.40% 떨어져 가장 큰 하락세를 보였으며 강북권(-0.93%), 강서권(-0.72%)이 뒤를 이었다.


강남권은 주로 재건축아파트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지난 하반기까지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부동자금이 몰리면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강북권의 경우 미아 및 길음뉴타운내 많은 입주물량 탓으로 약세를 보였다.


구별로는 송파구가 -3.51%로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금천구(-2.58%), 도봉구(-2.05%), 은평구(-1.71%)가 뒤를 이었다.


수도권에서는 신도시가 가장 큰 하락을 보였다. 신도시 중에서는 일산이 -6.06%로 가장 큰 하락세를 기록했으며 파주교하(-5.20%), 산본(-4.33%), 평촌(-3.59%), 분당(-3.48%), 김포한강(-2.03%)이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하락세를 보인 지역은 중동으로 -0.23%를 기록했으며 유일하게 신도시 중에서는 판교만이 2.58%로 플러스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처럼 신도시가 큰 폭으로 하락세를 보인 이유로는 1기 신도시의 경우 대부분 건물이 노후화된 데다가 이를 해결해줄 리모델링 사업 완화규제가 더디기 때문이다. 2기 신도시의 경우 보금자리주택 가격과 입지 영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입주물량마저 대거 공급됐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경기도(-1.53%)와 인천(-0.74%) 역시 큰 폭으로 하락했다. 경기의 경우 동두천이 -7.26%로 가장 큰 하락세를 보였으며, 고양시(-4.36%), 용인시(-2.78%)가 뒤를 이었다. 인천은 연수구(-1.47%)가 하락세를 주도했다.


경기지역의 경우 주로 입주물량이 많은 지역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는데 실제로 용인시의 경우 2010년 입주물량이 1만5589가구로 가장 많았으며, 고양시 1만3511가구로 뒤를 이었다.


인천은 연수구가 하락폭을 주도했는데 여기에는 송도국제도시 시세하락이 컸다. 송도국제도시는 부동산시장이 어려워지면서 개발호재에 대한 기대감보다 경기악화에 대한 우려가 더 커지면서 하락세가 나타났다.


지방은 수도권과 달리 1.23%로 상승세를 기록했다. 부산시 3.89%로 가장 많이 올랐으며 대전시가 1.77%, 경상남도가 1.09%로 뒤를 이었다. 부동산침체로 신규분양이 적어 중소형 아파트 공급이 적은 것도 시세를 끌어올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수도권 전세 2.86%로 높은 상승률 보여


수도권 전세가는 2.86%로 매우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 전세 상승률이 0.94%를 보인 점을 감안하며 무려 1.92%포인트 상승한 것.


지역별로 전세가가 가장 많이 오른 지역으로는 서울로 3.29% 상승세를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매매 변동률이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한 신도시가 3.12%로 뒤를 이었다.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떨어지자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탈 수요가 그대로 전세로 남았다. 보금자리주택으로 무주택세대주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세입자도 늘어나면서 전세수요가 급격히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또 연초 서울을 중심으로 입주물량이 많지 않은 가운데 재건축, 재개발 사업 추진 등으로 기존 주택이 멸실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전세공급은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전세 상승을 불러일으켰다.


지방 전세도 2.58%로 플러스 상승률을 기록했다. 매매변동률과 마찬가지로 부산이 6.20%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대전이 5.61%로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의 경우 어려운 지방 분양시장으로 지금까지 신규분양물량이 많지 않아 수요에 비해 공급물량이 크게 적은 것이 전세가 상승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그 외 충북, 충남, 경남 등이 강세를 보였는데 이들 지역의 경우 산업단지를 포함해, 전세수요가 다른 곳보다 탄탄하기 때문이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조민서 기자 summe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