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도권 '입주폭탄' 쇼크..마이너스 분양권 속출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서울시 송파구에 사는 김모씨는 요즘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수도권 광역교통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란 판단에 분양받은 경기도 광주지역 아파트 입주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입주를 앞두고 아파트를 팔려고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를 찾았더니 애초 기대와는 달리 분양권에 1000만원을 깎아도 거래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란 답을 들었다. 김씨는 "지금 당장 돈이 급하지 않아 일단 부동산 시장 회복을 기다려보기로 했다"며 "하지만 입주 후 대출금 이자 부담을 얼마나 견뎌낼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경기도 지역에 아파트 입주 폭탄 주의보가 발령됐다. 2007년 말 분양가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건설사들이 쏟아낸 밀어내기 물량의 입주가 올 4~5월에 집중된 탓이다. 여기에 추가적인 신규 공급마저 대거 예정돼 있어 상당기간 아파트 시장의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7일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4~5월 두달간 용인·파주·안성·광주 등 경기도 지역에 1만3827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지역별로는 용인지역이 단연 두드러진다. 두달간 용인지역에 공급되는 가구는 6282가구로, 같은 시기 경기도 지역의 입주 물량의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밖에 광주시 및 군포, 수원, 안성 등 경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물량이 배치돼 있다. 특히 안성시 공도읍의 KCC스위첸은 5월 1101가구의 입주가 대기 중이다.

문제는 일부 입주 예정단지에서 마이너스 프리미엄의 분양권 급매물이 빠르게 늘고 있지만 매수자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데 있다. 만약 입주 예정단지 상당수가 빈집으로 남는다면 이는 건설사의 자금경색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특히 아파트 분양 당시 중도금 무이자, 가격 보장제 등의 파격 조건을 내건 건설사일수록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입주기간이 늘어나면 건설사가 잔금도 못 받은 상태에서 중도금 60%에 대한 보증책임까지 져야 하기 때문.


경기도 지역에 반값 아파트인 보금자리주택의 공급이 줄줄이 이어진다는 점도 '불꺼진 아파트'를 속출시키는 원인이다. 4월에만 구리 갈매지구(2348가구), 남양주 진건지구(4304가구), 부천 옥길지구(1957가구), 시흥 은계지구(3522가구)에 보금자리주택 사전 예약이 예정돼 있다. 여기에 광명 시흥, 하남 감일, 성남 고등 등이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선정돼 있어 경기도 지역 아파트의 거래 침체는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


조민이 스피드뱅크 팀장은 "지난 3월 경기도지역 입주 물량은 4916가구에 그쳤지만 4월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며 "4월(5766가구), 5월(8061가구) 대규모 입주물량이 쏟아지면 잔금을 치르지 못한 매물이 한꺼번에 나오면서 집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