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욕상품]달러 앞에 추풍낙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그리스 신용등급 강등+잦아들던 두바이 악재 다시 꿈틀..달러 반등에 상품 약세 심화

[아시아경제 김경진 기자]8일 뉴욕상품시장이 또 다시 하락했다.


금을 비롯한 귀금속이 4 거래일 연속 급락세를 탔고, 유가도 5 거래일 째 급락을 거듭했다.

이날 미국채 2년물 수익률이 장중 0.69%까지 하락하는 등 두바이와 그리스 악재에 따른 글로벌 증시하락과 美 경제지표 악재에 美 기준금리 인상 기대감은 다소 약화됐다.
하지만 투심악화에 따른 캐리트레이드 청산으로 달러와 엔이 동반 강세를 보이자 상품시장 대표 상품들이 맥없이 무너졌다.


COMEX 2월만기 금선물가격이 전일대비 온스당 20.60달러(1.8%) 급락한 1143.40달러에 장을 마감했으나 시간외거래에서 1125.3달러까지 낙폭을 넓혔다.
추가 급락을 우려하는 투자자들이 이익실현을 서두르고 있어 약세폭이 확대되고 있다.

달러 반등 및 금값 급락에 은을 비롯한 기타 귀금속도 일제히 급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COMEX 3월만기 은 선물가격이 온스당 55.3센트(-3%) 떨어진 17.807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악화된 시장 분위기에 EIA(美에너지정보국)의 내년도 오일 수요 전망 하향 전망, 멕시코 오일헷징 소식까지 더해 유가도 낙폭을 키웠다.
NYMEX 1월만기 WTI 선물가격이 전일대비 배럴당 1.31달러(1.77%) 하락한 72.6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장 마감 후 API(美석유협회)가 집계한 지난주 美 오일재고가 원유가 580만 배럴, 가솔린이 75만3000배럴 감소한 것으로 확인돼 시간외거래에서 낙폭을 일부 만회하긴 했으나 글로벌 증시약세 지속 우려 속에 유가 하락압력은 여전히 강한 상황이다.


이 같은 시장 분위기에 주요 곡물가격도 6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CBOT 12월만기 밀선물가격이 1부쉘당 전일대비 7.25센트(1.4%) 내린 5.1925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동일만기 대두선물가격도 0.9% 내렸다.
美 옥수수 주요 산지 강우예보에 옥수수 선물가격이 0.2% 오르긴 했으나 숏커버일 뿐이라는 지적이다.


10월 독일산업생산이 -1.8%대로 급락 시장 예상(+1%) 및 전기치(+3.7%)를 하회하는 등 거시경제지표 악재가 더해 구리를 비롯한 비철금속 가격도 약세를 보였다.
COMEX 3월만기 구리선물가격이 1파운드당 4.40센트(1.8%) 내린 3.1650달러까지 하락했다. 10월27일 이후 최저 종가다.


로이터-제프리 CRB지수는 전일대비 2.28포인트(0.83%) 떨어진 271.53을 기록했다.


상품 개별적 수급상황보다는 불안한 글로벌 경제상황과 자본시장 움직임이 상품시장 투심을 더욱 냉각시키고 있다.

김경진 기자 kj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경진 기자 kj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