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편의 봐줬더니 무임승차 악용 비일비재"…지하철 '계좌이체' 막힌다

시계아이콘00분 5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서울 지하철 요금, 계좌이체 지불 금지
"부정 승차·업무 가중 등 부작용 발생"
내년 1월20일부터 시행

"편의 봐줬더니 무임승차 악용 비일비재"…지하철 '계좌이체' 막힌다 지하철 개찰구.
AD

내년부터 계좌이체로 지하철을 탈 수 없게 됐다. 계좌이체를 악용한 부정 승차가 늘어나면서 원천 금지가 추진될 예정이다.


23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다음 달 20일부터 계좌이체로 지하철 요금을 지불할 수 없다. 공사는 현금인출기가 설치되지 않은 상황 등에서 승객의 편의를 고려해 2022년 1월14일부터 하차 역에서 계좌이체로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해왔다.


그러나 3년간 운영한 결과 부정 승차 등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했다. 공사 관계자는 “승차권·현금을 소지하지 않은 승객이 계좌이체를 하겠다고 말하지 않고 무임승차 하는 경우, 승차역을 속여 실제 운행 거리보다 요금을 적게 내는 경우 등 비일비재했다”며 “무임 승차한 승객을 단속할 때도 계좌이체를 하려 했다는 변명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편의 봐줬더니 무임승차 악용 비일비재"…지하철 '계좌이체' 막힌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사당역을 이용하는 시민들로 북적이는 모습. 강진형 기자

업무도 가중한 것으로 드러났다. 2022년 1만2155건이었던 계좌이체 건수는 올해 3만1229건으로 늘어나면서 입금액을 처리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공사 관계자는 “채권 처리에 시간이 드는 것은 물론 승차권·현금을 소지하지 않은 승객이 당연한 권리처럼 비상 게이트에서 직원을 호출해 일단 탑승하겠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밝혔다.


수도권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13개 관련 기관도 지난해 8월 계좌이체 제도 폐지에 원론적으로 합의한 바 있다. 특히 계좌이체를 허용하는 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공항철도와 그렇지 않은 기관 간 수입금 배분을 두고도 이견이 발생했으며 업무가 가중된다는 내부 지적도 꾸준히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공사는 장기적인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제도 폐지를 결정했다.



다만 공사는 발매기 등 역무자동화기기 고장, 정전 등 승객이 승차권을 정상 구매할 수 없는 경우, 임산부 및 수험생이 지하철을 이용할 때 역장 판단으로 계좌이체가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등 극히 예외적인 경우에만 계좌이체를 허용할 방침이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