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前대통령국장]운구행렬 '국회-동교동-서울광장-현충원'

노제는 지내지 않기로...이희호 여사 원하지 않아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운구는 오는 23일 오후 국회에서 영결식이 끝난후 동교동 자택과 서울광장을 거쳐 서울현충원으로 향하게 될 전망이다.


대신 노제는 열지 않기로 했다.

정부는 21일 오후 기자설명회를 열어 국립묘지로의 이동은 영결식후 국립묘지까지 이동하면서 고인의 살아생전 의미있는 곳을 거쳐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노제는 처음부터 없는 것으로 협의했고 이희호 여사도 원하지 않는다"며 "다만 영결식후 동작동 국립묘지로 가는 과정에 들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결식에는 총 2만4000명이 초청된다. 정부 초청이 9000명(서울시민 대표 4300명 포함), 유가족측 요구로 1만5000명으로 이 가운데 1만5000명 정도가 참석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초청자 2만4000명은 전 국민을 대표하는 초청자라고 볼 수 있다"며 "이분들을 중심으로 국장을 진행하는 만큼 반드시 초청장이 필요하고 신분증만으로 영결식장 입장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영결식은 고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개식을 시작으로 국기경례-묵념-약력보고-조사-종교의식-생전영상 상영-헌화-추모공연-조총-폐식 등이 이어지게 된다.


사회는 남녀 각 1인씩 2인 공동사회로 선정해 김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의 남녀평등 사상을 반영하기로 했다. 사회자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조사는 한승수 장의위원장이 단독으로 하고, 추도사 1인을 유족 측에서 희망하고 있어 검토중이다.


종교의식은 천주교, 불교, 기독교, 원불교 순으로 4개 종단이 참여하게 된다. 생전 영상은 유족측에서 제작중이며, 헌화시 유족측에서 조악대 외에 교향악단을 요구해 정부와 협의중이다.


추모공연은 성악가 1인과 어린이 합창단이 추모 노래를 부르게 된다.


이같은 영결식은 1시간20분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오후 2시부터 진행되는 영결식 준비를 위해 오전 8시부터 국회 분향소는 통제된다. 대신 국회 정문앞 도로 건너편에 임시분향소를 설치해 저녁 6시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