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디어법 대충돌 임박…주초 최대 고비

미디어법을 둘러싼 여야 대치가 임시국회 마지막 주를 앞두고 중대고비를 맞고 있다.


김형오 국회의장의 회기 연장안과,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의 중재안도 사실상 물 건너간 게 아니냐는 우려속에 본회의장의 물리적 대치가 눈앞에 다가오고 있는 것.

이미 시한폭탄처럼 굴러가던 여야 대치가 본회의장 의장석 점거를 위한 힘겨루기로 이어지면서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19일 오전 본회의장내 의장석을 일시점거하고 나섰다.

민주당의 항의속에 철수하고 이날 자정까지는 의장석과 단상을 점거하지 않기로 재차 신사협정을 맺었지만, 이미 불신의 벽을 높이 쌓고 직권상정에 의한 표결처리를 주장하는 한나라당과 결사저지를 외친 민주당이 합의에 이를 가능성은 희박하다.


한나라당은 박 전 대표 중재안과 자유선진당안을 바탕으로 수정안을 두고 다시 협상에 나설 계획이며, 민주당은 여러 가지 안이 나온 만큼 충분한 논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맞서고 있다.


양당 대표가 이를 두고 막판 회동에 나설 가능성도 있지만, 민주당으로서는 대기업과 메이저 신문의 지상파 및 종합편성채널의 진입을 사실상 허용하고 그 지분율로 수정안을 논의하는 상황이어서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은 것. 따라서 마지막까지 양당은 직권상정 강행과 저지의 명분쌓기에 나서며 본회의장 의장석 고지 점령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대충돌이 초읽기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협상시간은 오늘까지다. 오늘 안되면 내일 직권상정을 건의할 것"이라며 "협상이 되건 안 되건 내일 처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최후 통첩했다.


김형오 국회의장은 임시국회 마지막 순간까지 중재에 나설 가능성이 커 직권상정의 시기는 23~24일이 될 가능성이 크지만, 이번 임시국회가 치열한 여야 대치속에 진행된 결과 법안 논의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직권상정의 시기가 좀더 당겨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미디어법에 이어 비정규직법과 금융법, 공무원연금법, 세종시법 등의 현안법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어 자칫 24일 직권상정에 실패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


양당 원내수석부대표들은 이날 회동을 갖고 20일 0시까지는 의장석 점거 등 물리적 행동에 나서지 않기로 합의했지만 예상치 못한 돌발 충돌의 가능성은 여전하다. 국회 사무처는 이미 이날 국회본청 출입제한을 시작해 국회의원과 상근자, 출입기자등을 제외한 이들의 출입이 제한되고 있다.


국회내 한 관계자는 "지도부 협상과는 별개로 양당 강경파를 중심으로 몸싸움이 벌어질 가능성이 많다"며 "결국 주초가 고비가 되지 않겠느냐, 협상여부는 20~21일이 고비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혁진 기자 y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