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지방 건설경기 '기대감'

남영건설, 안동 2지구 선도사업자에 선정
지역제한발주 등 제도적 뒷받침 절실

 
광주지역 건설사인 남영건설이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선도업체로 지정되면서 지역건설업체들의 관급공사 수주참여에 대한 기대감이 한껏 부풀어오르고 있다.
 
28일 지역건설업계에 따르면 광주에 연고를 둔 남영건설이 정부의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중 하나인 '낙동강 안동2지구 생태하천 조성사업자'로 최근 선정됐다.
 
낙찰가격은 241억6894만원으로 남영건설은 사업 시행주체인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지난 26일 계약을 맺고 29일부터 본격적인 사업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남영건설 김창남 대표는 "4대강 정비 프로젝트는 공공 건설부문을 중심으로 한 지역 건설사를 살리기 위한 대책이 시작된 것"이라면서 "이번 사업에는 일부 지역협력업체들도 함께 참여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4대강 프로젝트 등 굵직굵직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발주가 많은 내년에는 남영건설처럼 지역 건설사들이 공공사업에 더욱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정작 지방건설업계에서는 입찰 시스템에 대한 제도와 구조적 문제점들을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행 행정안전부의 지역의무공동도급 요령에는 도급액 222억 미만 공사에 대해서만 지역업체에 49% 이상 공동도급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건설협회 전남도회 관계자는 "70억 미만 지역제한발주와 222억 미만 지역의무공동도급 등이 시행이 돼야만 지역업체들이 혜택을 볼 수 있다"면서 "그렇지 않을 경우 서울 대형업체들의 잔치가 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 건설사 살리기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은 이렇다할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전남도가 최근 '지역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참여확대 방안 건의'란 문서를 국토해양부,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등에 발송했으나 현재까지 회신 문서는 접수되지 않은 상태다.

이 문서에서 전남도는 4대강 정비 사업에 지역건설업체 60%이상 참여보장, 지역의무공동도급시 지역업체 참여율 상향(30%→40% 이상), 지역의무공동도급 상한액 상향(222억→4000억) 등을 건의한 바 있다.

하지만 이같은 전남도의 건의내용이 개선되려면 무엇보다도 현행법 개정, 특례법 제정 등의 조치가 뒤따라야 하기 때문에 지역건설업체 수주 참여 확대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게 지역건설업계의 이야기다.

지역 중견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에서 지역 건설사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지만 정작 지역업체들의 기대감은 이에 미치지 못한다"면서 "지역업체들에 대한 의무비율 등 중앙정부 차원의 특단의 조치가 없을땐 4대강 정비 사업혜택은 고스란히 대기업체에 넘어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광남일보 박정미 기자 next@gwangnam.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