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현지기자
고금리로 누적된 이자 부담이 주택담보대출에서도 본격화하고 있다.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주담대 연체율이 1년 새 50% 이상 증가하면서 금융권 부실에 대한 우려가 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주담대 연체액은 1조 2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6477억원)과 비교해 54.7% 증가한 수치다. 주담대 연체액은 2018년 1조 892억원, 2019년 1조 2411억원으로 증가했다가 2020년(9171억원)부터 감소세였다. 최근 5년간 연체율은 2018년 0.24%, 2019년 0.25%, 2020년 0.17%, 2021년 0.12%, 2022년 0.18%로 집계됐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연체액이 7740억원(증가율 56.4%)으로 가장 많았다. 주담대가 시중은행의 주력 상품인 영향이다. 저축은행은 지난해 연체액이 289억원으로 타 업권 대비 크지 않았지만 증가율이 87.8%로 가장 높았다. 시중은행과 비교해 대출금리는 높지만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아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보험사는 1291억원(증가율 67.9%), 여신전문금융회사 699억원(증가율 15.4%)으로 집계됐다.
주담대 연체액이 큰 폭으로 뛰면서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 위기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담대는 연체 시 살고 있는 집이 경매로 넘어갈 수도 있기 때문에 차주들이 연체를 피하려는 경향이 짙다.
최근 몇 년간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주담대 잔액은 계속해서 오름세다. 2018년 458조 4285억원, 2019년 487조 783억원으로 증가하다가 2020년 526조 4477억원으로 500조원을 넘어섰고 2021년 560조 4494억원, 2022년 569조 8333억원을 기록했다. 고금리가 지속될 경우 연체율은 더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신용대출에서도 이자 부담에 따른 위기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신용대출 연체액과 연체율은 각각 2조 5730억원, 1.52%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8년 1조 7322억원(1.33%), 2019년 1조 5299억원(1.07%), 2020년 1조 5344억원(0.89%)으로 감소했지만 2021년 1조 9143억원(1.02%)으로 나타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양 의원은 “주담대와 신용대출 연체액이 지난해 크게 증가해 금융권 부실의 불씨가 될 수 있다”며 “금융당국은 연체율이 4~5%가 넘는 여전사와 저축은행들에 대한 건전성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신용대출은 담보가 없어 발생하는 손실을 금융권이 그대로 떠안아야 해 특별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