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동시각] 초라해진 세계최초 UHD 방송 타이틀

[아시아경제 임혜선 기자]컬러TV와 디지털TV 이후 방송의 역사를 새로 써 내려갈 것이라는 찬사를 받았던 초고화질 지상파 UHD TV가 지상파 3사의 철저한 무관심과 미진한 투자로 인해 사장되고 있다. 고가의 주파수 대역을 공짜로 받아 놓고는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자원 낭비’라는 비난도 이어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지상파 3사는 UHD 방송을 세계 최초로 시작했다. 지상파 방송사는 ‘UHD 생태계 구축을 통한 산업 활성화’리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UHD 방송은 입체적인 음향이 가능하고, 화질은 기존 HD보다 4배 선명해서 얼굴의 잔 솜털까지 보일 정도라고 지상파는 소개했다. 그러면서 2020년 전체 방송 중 25%를 UHD로 편성하고 2023년 50%, 2027년 100%로 늘리기로 했다.

‘세계 최초’란 타이틀이 무색하게 지상파 UHD 방송은 제대로 정착하지 못했다. 2020년에 지상파 UHD 편성 비율은 KBS1TV 13.7%, KBS2TV 11.4%, MBC 10.5%, SBS 12.7%에 불과했다. 시청 가능 인구가 적은데 제작 비용은 더 많이 들어 적자에 허덕이던 방송사가 부담을 느낀 탓이다. 지상파 방송을 유료방송을 통해 보는 가구가 97.5%에 달하는 수신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 패착이었다. 국민들의 편익은 뒷전으로 미룬채 지상파 3사는 직접 수신 확대를 통해 유료방송 의존도를 낮춘다는 계획에만 집중했다. 결국 시청자들은 IPTV를 통해 지상파 방송을 시청할 경우 UHD급이 아닌 HD급으로 방송을 보고 있다.

정부는 원래 목표를 수정했다. UHD급 콘텐츠의 의무편성 비율을 2022년 20%, 2023년 25%, 2024년 35%, 2026년 50%로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조정했다. 지상파 UHD 방송망의 지방 확대 계획 역시 2021년에서 2023년까지로 미뤄졌다.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적극적으로 밀어붙였던 정책을 3년 만에 궤도 수정을 한 것은 사실상 정책 실패를 인정한 셈이다.

2년이 더 지난 상용화 5년차인 현재 성적표는 여전히 초라하다. 박완주 더불어 민주당 의원은 최근 국회 과학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기존 HD콘텐츠를 리마스터링한 것을 빼면 지상파 3사의 UHD 편성 비율은 20%미만"이라고 지적했다.

UHD 도입 당시 야심차게 가져간 700㎒의 활용도도 미미하다. 지상파 UHD의 직접수신율은 해마다 추락하고 있다. 직접수신율은 2017년 도입 첫해 5.3%로 최고치를 찍은 이후 2018년 4.2%, 2019년 2.6%, 2020년 2.3%, 2021년 2.2%로 매년 감소했다. 직수신 가정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한 수치다. 정부는 원래 모바일광개토 플랜을 통해 700㎒ 대역을 이동통신용으로 할당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세계 최초 UHD 상용화를 요구하는 국회의 요구에 따라 계획을 바꿨다.

아무도 보지않는 방송을 위해 정부가 고가의 주파수를 무료로 내놓은 꼴이다. 방송사 내부에서는 수익을 내기 힘든 상황에서 UHD를 안고 가는건 무리수라는 목소리가 상당하다. 원래 계획대로 이동통신에서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세계 최초’의 무게를 내려놓고, 정부가 결단을 내려야 할 때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IT과학부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