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1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우리들의 오월’ 주제로

김부겸 국무총리·송영길·김기현·여영국 당대표 등 99명 참석

전국화·세계화 계기 마련해 ‘국민통합’ 이루자는 메시지 담겨

김 총리 “대한민국, 완전한 진실 규명될 때까지 포기 않을 것”

제41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거행됐다. 사진=보훈처 제공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윤자민 기자] 제41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10시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렸다. 이날 기념식은 국가보훈처가 주관, ‘우리들의 오월’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김부겸 국무총리와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기현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여영국 정의당 대표, 5·18 유공자 및 유족, 각계 대표, 학생 등 99명으로 참석자가 제한된 가운데 진행됐다.

인원 제한으로 들어가지 못한 여당 대권 주자, 정치인들은 따로 참배했다.

또 일반 시민들은 기념식장 밖에서 대기한 후 행사가 모두 마친 후에 개별적으로 오월 영령을 추모했다.

올해 기념식은 진정한 사과·용서·위로를 통해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미래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으로 재점화, 광주라는 지역적 한계를 넘어 전국화·세계화로 확장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국민통합’을 이루자는 메시지가 담겼다.

기념식은 헌화 및 분향, 국민의례, 경과보고, 기념공연(1막), 기념사, 기념공연(2막), ‘님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 순으로 진행됐다.

1막에서는 올해 41년 만에 사진이 발견된 고(故) 전재수 군과 5·18 당시 투사회보의 필경사로 활약한 故박용준 열사의 사연을 담은 영상이 상영됐다.

‘기록을 말하다’라는 주제로 유네스코 기록물로 등재된 5·18 당시 일기 등을 활용한 독백 형식의 공연과 비올라 5중주의 ‘바위섬’ 연주가 이어졌다.

2막에서는 미얀마 등 전 세계 민주주의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표현하는 영상이 상영됐다.

바리톤 김주택과 합창단 시함뮤(시민과 함께하는 뮤지컬 배우들)가 가수 송창식의 노래 ‘우리는’을 불렀다.

마지막으로 참석자 전원이 일어나 5·18 상징곡인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기념사에서 “화해와 용서는 지속적인 진상규명과 가해당사자들의 진정한 사과, 살아있는 역사로서 ‘오월 광주’를 함께 기억할 때 비로소 가능하다”며 “진실보다 위대한 사과와 애도는 없다. 진실의 고백은 화해와 용서의 시작”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국에 계신 여러 당사자와 목격자 여러분, 간곡히 호소드린다. 더 늦기 전에, 역사 앞에 진실을 보여주시라”면서 “가족의 생사라도 확인하고 싶은 그 마음, 시신이라도 찾고 싶은 애절한 심정, 어떻게 목숨을 잃었는지라도 알고 싶은 안타까움을, 조금이라도 헤아려 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러분 또한 역사의 피해자였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 알고 있다. 광주시민께서는 여러분을 따뜻하게 위로하고 안아주실 것이다”며 “대한민국은 ‘오월 광주’에 대한 완전한 진실이 규명될 때까지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부겸 국무총리,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등 주요내빈들이 18일 오전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1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사진=광주광역시 제공

호남취재본부 윤자민 기자 yjm3070@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호남팀 호남취재본부 윤자민 기자 yjm307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