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8개월 연속 플러스'…5월 수출 11.7% 늘어(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산업부, 2024년 5월 수출입 동향

지난달 수출이 11% 이상 늘어나며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된 수출 증가세가 8개월째 이어졌다. 정부는 수출이 연말까지 우상향 흐름을 지속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모든 가용한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4년 5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 대비 11.7% 증가한 581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5월 수출은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하며 8개월 연속 플러스를 유지했다. 특히 5월 수출액은 2022년 7월(602억4000만달러) 이후 22개월 만에 최대 실적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26억4000만달러(9.2%)로 2022년 9월(26억6000만달러) 이후 2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8개월 연속 플러스'…5월 수출 11.7% 늘어(종합) 부산 북항에 수출용 컨테이너가 선박에 선적돼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11개 수출이 증가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무선통신기기 등 IT 전 품목이 3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합산 수출액도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54.5% 증가한 113억8000만달러로 7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으며, 올해 3월(116억7000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110억 달러를 넘어섰다. 고부가가치인 메모리 반도체 판매·생산 증가와 함께 비메모리 또한 차량용반도체 수요 확대 등에 따른 수출 증가세 지속, IT업황 개선세가 이어진 결과로 산업부는 분석했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16억3000만달러(15.8%)로 올해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하면서 10개월 연속 증가했다. 컴퓨터SSD 수출은 2022년12월(10억5000만달러) 이후 17개월 만에 최대실적인 10억4000만달러(48.4%)를 기록하며 5개월 연속, 무선통신기기(9.4%) 수출은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자동차 수출은 역대 5월 중 최대치인 64억9000만달러(4.8%)로 올해 설 연휴가 포함된 2월을 제외하고 매월 60억달러 이상의 호실적을 기록 중이다. 선박 수출은 20억6000만달러(108.4%)로 세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10개월 연속, 바이오헬스 수출은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18.7%)을 기록하며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이외에 석유제품(8.4%)은 3개월 연속, 가전(7.0%), 석유화학(7.4%), 섬유(1.6%) 수출은 2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9대 주요 수출지역 중 7개 지역 수출이 증가했다. 대(對)중국 수출은 2022년10월(122억달러) 이후 19개월 만의 최대 실적인 113억8000만달러(7.6%)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는 2월을 제외한 전 기간에서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일평균 수출도 작년 12월부터 6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대미국 수출은 역대 5월 중 최대 수출실적인 109억3000만달러(15.6%)를 기록하면서 10개월 연속 증가했다. 대중남미 수출은 9개 주요 지역 중 가장 높은 증가율(25.5%)을 보이며 5개월 연속, 아세안(21.9%), 일본(2.4%), 인도(24.8%), 중동(2.2%)은 각각 2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5월 수입은 531억9000만달러로 2.0% 감소했다. 에너지 수입액은 117억달러로 원유(6.7%), 가스(7.1%) 수입 증가로 총 0.3% 증가했다.


5월 무역수지는 전년 동기 대비 71억5000만달러 개선된 49억6000만달러 흑자로 2020년12월(67억달러) 이후 41개월 만에 최대 흑자규모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 12개월 연속 흑자로 총 327억달러 누적 흑자규모를 달성했으며, 올해 1~5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430억달러 개선된 155억달러 누적 흑자를 기록했다.

'8개월 연속 플러스'…5월 수출 11.7% 늘어(종합)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자료사진)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수출이 작년 하반기부터 우리 경제성장을 최전선에서 견인(순수출 성장 기여율 46~167%)하고 있다"며 "수출이 연말까지 우상향 흐름을 지속하면서, 역대 최대 실적 달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도 모든 가용한 역량을 집중해 민관 원팀으로 총력 지원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를 위해 산업부·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가 범부처 '수출여건 점검 및 추가 지원방안'을 즉시 마련해 금융·마케팅·인증 등 지원 확대, 업종별 수출경쟁력 강화, 기업특성별 맞춤형 지원 등을 신속 지원하겠다"며 "최근 해상물류 운임비의 가파른 상승에 선제 대응해 컨틴전시 플랜을 2단계로 격상하고, 하반기 수출바우처 조기시행과 중소기업 전용 선복 추가 지원을 추진하는 등 우리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대외여건을 면밀히 점검·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