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통장 쓰니?'…은행고객 절반 이상 은행앱 사용

5대 은행 총 고객 대비 은행 앱 사용 비중 50% 이상
오픈뱅킹 시행 이후 소비자들의 호응 ↑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직장인 민주완(31ㆍ가명)씨는 나이와 어울리지 않는 아날로그 방식의 소유자였다. 종이통장ㆍ카드를 가지고 은행 지점을 방문하거나 텔레뱅킹ㆍ자동현금인출기(ATM)를 통해 자금 이체를 해왔다. 40~50대도 쓰는 인터넷뱅킹을 이용하지 않았다. 비밀번호 기억의 어려움과 은행별 개별 접속의 번거로움 때문이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에 아무 은행 애플리케이션(앱) 하나만 내려받으면 지문ㆍ안면 인식으로 다른 은행 거래까지 가능해진 시대가 열리면서 큰 맘먹고 모바일뱅킹 사용자로 전환했다. 오픈뱅킹 도입으로 은행 간 경계가 사라지면서 은행 앱 하나로 인터넷뱅킹의 불편함이 한번에 해결되자 민씨 처럼 종이통장 사용자들이 은행 앱 사용자로 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오픈뱅킹 도입으로 은행 간 경계가 사라지면서 은행 고객의 절반 이상이 은행 앱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해 비대면 서비스를 늘리면서 은행 앱을 통한 거래량 또한 급증하는 추세다.

22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ㆍNH농협ㆍ신한ㆍ우리ㆍ하나 등 5대 은행의 9월 말 현재 총 고객 수 대비 은행 앱 이용자 수는 54%를 기록했다. 고객의 절반 이상이 은행 앱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은행별로는 농협은행이 1700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국민은행 1600만명, 우리은행 1500만명, 신한과 하나은행이 각각 1200만명씩이었다. 5대 은행의 앱 이용자 수를 합하면 약 7200만명에 달하는 규모다. 전체 고객 수 대비 이용자 비중으로 보면 우리은행이 가장 높았다. 10명 중 7명(68%)이 앱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앱을 통한 거래도 급증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모바일뱅킹 이용금액은 하루 평균 8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하반기 6조7457억원 보다 22.9% 늘어난 수치다. 은행 송금 거래 기준으로 올 상반기 은행권 모바일뱅킹 거래 건수는 총 13억6800만건으로 인터넷뱅킹 1억9800만건의 7배에 달했다. 오는 12월부터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내년부터 증권ㆍ카드사까지 오픈뱅킹에 참여하면서 앞으로 모바일뱅킹 이용자와 거래 건수ㆍ규모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오픈뱅킹 시행 이후 소비자들의 호응도 높다. 금융거래 편의성이 높아져서다. 실제 자주 안쓰는 타 은행 계좌 돈을 주거래 계좌로 옮기는 작업도 즉시 가능하고, 타은행 계좌에 있는 돈을 통장ㆍ카드 없이도 ATM에서 인출할 수도 있다. 계좌가 없더라도 은행 앱에 가입할 수 있으며 비대면으로 신분증 사진만 찍으면 즉각 신규 계좌 개설도 가능하다. 은행 앱 하나로 흩어져 있는 은행계좌 관리, 증권ㆍ카드ㆍ보험 통합 자산관리가 가능해진 것이다.

치열해진 은행 앱 경쟁…이벤트 걸고 앱 가입 유도

은행별로 은행 앱을 통해 제공하는 모바일뱅킹 서비스는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대동소이하다. 다만 앱 이용에는 이용자의 습관이나 일상 같은 내밀한 패턴이 반영되기 때문에 고객을 새롭게 끌어들이는 게 어려운 만큼, 은행권 초반 경쟁에서 밀릴 경우 회복이 어려운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은행들이 앱 가입을 촉진하기 위해 각종 이벤트를 내걸고 수시로 차별화를 고민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농협은행은 모바일 플랫폼 올원뱅크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연 5% 금리를 제공하는 적금 특판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국민은행 KB스타뱅킹도 입출금 계좌 미 보유 고객 또는 입출금 계좌만 보유한 고객을 대상으로 경품 이벤트를 열고 있다. 신한은행은 20대 고객이 쏠 앱을 통해 주택청약종합저축이나 청년우대형 주택저축을 가입하면 현금 1만원을 지급한다. 하나은행은 이달 말까지 뉴하나원큐 앱을 설치하고 얼굴인증 또는 간편번호인증 등록으로 회원 가입한 손님에게 이체 수수료를 평생 면제해 주고 있다. 우리은행은 '첫급여 우리통장'으로 50만원 이상의 급여를 처음 받고 은행 앱 우리원뱅킹에 응모하면 경품을 제공한다.

다만 은행 앱을 통해 대부분의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보니 별도의 상담 없이 충동적으로 상품가입, 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우려할만한 부분이다. 은행 앱 한 화면에 너무나 많은 기능이 탑재돼 자칫 복잡해보일 수 있어 고령자들의 사용이 힘들다는 점도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한 이용자는 "은행 앱 사용이 편리해 은행 두 곳의 앱을 내려받아 사용 중이지만, 계좌를 한번에 관리하고 이체하는 정도의 서비스만 자주 이용할 뿐 적금ㆍ대출 등 상품 가입 및 서비스 이용은 충동 가입과 개인정보 공유에 대한 불안함 때문에 잘 이용하지 않는 편"이라고 말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