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반납·희망퇴직·순환휴직…삼성重 구조조정 다시 시동

사측, 임금 10%반납·희망퇴직 검토 등 구조조정 안 지난주 제시 하반기 고강도 구조조정 피할 수 없을 듯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삼성중공업이 임금반납, 희망퇴직, 순환휴직을 중심으로 한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지난해 대규모 구조조정 이후 수주 회복과 적자 탈출로 한동안 잠잠하던 삼성중공업이 소용돌이에 휘말릴 것으로 보인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삼성중공업 사측은 노동자협의회(이하 노협)와 만나 비용절감을 위한 구조조정 방안을 전달했다. 노협은 일단 거부 의사를 밝혔지만 사측이 안을 전달한 이상 하반기 내 고강도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핵심내용은 2018년까지 임금 10% 반납, 1개월 이상 순환휴직, 희망퇴직 검토다. 임금 반납은 사무직에 이어 생산직까지 확대하는데 방점이 찍혔다. 삼성중공업 거제 조선소의 한 직원은 "연차가 낮은 생산직은 직원의 기본급을 10% 깎으면 시간당 수당이 최저임금에도 못 미친다"며 "그래서 회사가 원래 두 달에 한 번씩 지급하던 정기상여금을 매달 나눠 지급하겠다는 안을 함께 제시했다"고 말했다. 삼성중공업은 작년 7월부터 사무직을 대상으로 임금반납을 추진해왔다. 박대영 사장은 임금 전액, 임원은 30%, 부장 20%, 과장은 15%씩 반납해왔다. 생산직은 여기서 제외된 대신 특근과 잔업을 없애 수당을 줄였다. 그러나 올해부턴 임금 삭감 대상에 생산직까지 포함시키겠다는 것이 사측의 판단이다.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16만㎥급 LNG선(기사내용과 무관)

또한 희망퇴직과 관련해 사측은 '2018년까지 정규직 직원을 30~40%까지 줄이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이미 지난해 밝힌 바 있다. 인원수로 따지면 최대 5200명에 달한다. 지난해 1900명 정도가 이미 회사를 떠났다. 올해 희망퇴직을 실시하면 생산직도 포함된다. 계획대로라면 앞으로 1년 6개월 내 3000명 이상의 직원들이 나가야 한다. 사측은 이밖에도 1개월 이상 무급순환휴직, 장기근속지원 축소, 학자금지원 축소 등 자구안 방안을 제시했다.  노협은 최후의 저항 수단으로 '노동조합 설립' 카드를 꺼내들었다. 만약 구조조정을 회사가 일방적으로 추진하면 노동자협의회를 노동조합으로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사측은 "일방적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하진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지난해 희망퇴직도 합의 없이 진행됐었다. 노협 관계자는 "우리도 회사 사정이 어려운 것을 알기 때문에 대화를 통해 합의할 것은 하겠다"라며 "그래도 (구조조정) 강제 시행만은 절대 안 된다"고 못박았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현재 삼성중공업 노협은 다른 조선사 노조와 하는 일은 같지만 조합비가 없고 금속노조와 같은 상급단체도 없다"며 "노동조합으로 전환되면 회사도 직원들을 상대하기 훨씬 어려워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