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태양광 볕드나] 美 현지사업 박차
"트럼프 정권, 사업하기 좋아"
"JV 설립은 조만간 결론"
美서 셀·웨이퍼 등 생산 인프라 구축할 듯
OCI홀딩스의 미국 태양광 합작법인 설립이 임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전후해 미국에 태양광 합작법인이 만들어지면 폴리실리콘을 활용한 잉곳, 웨이퍼, 셀 등의 수직계열화가 가능할 전망이다.
이우현 OCI홀딩스 회장은 8일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합작법인 추진 현황에 대한 질문에 "미국 현지 두 기업과 최종 논의 중이고 조만간 결론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OCI홀딩스는 현재 텍사스주에 연간 500㎿ 모듈 생산 시설을 갖춘 자회사 미션솔라에너지를 운영 중이다. OCI홀딩스는 이와 별개로 현지 합작법인 설립을 통한 생산 인프라 구축을 계획하고 있는데, OCI홀딩스 말레이시아 법인에서 생산된 폴리실리콘을 미국에 들여와 잉곳·웨이퍼·셀 등 태양광 수직계열화를 이룬다는 구상이다.
OCI홀딩스가 합작법인 설립에 속도를 내는 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오히려 현지 사업 여건이 호전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이 회장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관련해 "정책 선명성이 좋아서 예측하기 쉽다"며 "사업가 출신이라 기업들이 사업하기에는 더 좋은 환경으로 본다"고 말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반(反)중국 기조가 국내 태양광 기업들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이 회장의 견해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 내내 중국에 대해 6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당선 이후에는 중국 매파 인사들을 내각 주요 인사로 임명하며 강경 기조를 드러냈다.
미국은 이미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최대 200%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며 강하게 견제해왔다. 2012년 미국은 중국산 태양광 셀 및 모듈에 18.32~249.96% 반덤핑 및 14.78~15.79% 상계관세를 부과했다. 2015년에는 조사 범위를 확대해 중국 외의 국가에서 생산된 셀을 사용한 경우에도 최대 16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중국기업들은 관세 폭탄을 피해 동남아시아를 통한 대미 우회 수출에 나선 상태다. 블룸버그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지난해 동남아 4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된 셀과 모듈 비중은 78%에 달한다. 대미 수출된 중국산 비중은 1%에 불과했다.
동남아 우회 수출도 어려워졌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해 6월 동남아 4개국(캄보디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을 통한 우회 수입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를 종료한 데 이어, 이달부터 중국산 태양광 제품과 폴리실리콘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50%로 인상했다.
이 때문에 OCI홀딩스는 올해 상황이 반전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한 관세 장벽이 강화되면서 한국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폴리실리콘에 관세가 부과돼도 셀과 모듈을 모두 미국에서 생산하면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다.
국내 기업들은 이미 미국 시장을 겨냥해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특히 웨이퍼·셀 등 제품은 미국 내 생산량이 전무한 상황에서 한화큐셀이 추진 중인 미국 솔라 허브 프로젝트는 미국 내 태양광 공급망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란 전망이다. 한화큐셀은 조지아주에 총 3조2000억원을 투자해 모듈 생산시설(8.4GW 규모)을 운영 중이며 올해 하반기까지 잉곳·웨이퍼·셀 생산능력을 각각 3.3GW로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의 태양광 설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도 지속될 전망이다. 글로벌 태양광 설치량에서 중국에 이어 2위를 기록하고 있다. BNEF는 지난해 37GW가 신규 설치된 데 이어 올해 45GW, 2030년에는 65GW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강정화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글로벌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으로 태양광 프로젝트 건설에 필요한 자금 조달 비용이 낮아져 수요 증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성민 기자 minut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