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뼈라니…커지는 유해 유실 가능성

유실 방지대책 부실 드러내…방지망도 제 역할 못했다

반잠수식 선박에 거치된 세월호 선체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세월호 미수습자 유해에 대한 유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28일 오후 해양수산부는 세월호 미수습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 7점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가 5시간 만에 동물의 뼛조각으로 확인했다고 말해 미수습자 가족들의 할 말을 잃게 만들었다.김형욱 전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은 "이번 사건을 통해 해수부가 유해 유실방지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못했다는 게 증명됐다"고 주장했다. 세월호 수색을 시작하기도 전인 인양 작업 도중 사람의 뼈와 비슷한 동물 뼛조각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김 전 조사관은 "이미 상당 부분이 유실됐거나 앞으로도 유실될 수 있다"고 말했다.유골이 어디서 나왔는지도 문제다. 해수부는 전날 뼛조각을 선수 부분에서 발견했다고 발표했지만 이후 화물칸인 C·D데크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정정했다. 김 전 조사관은 "뼛조각 발견 장소도 제대로 추정하지 못하는데 언제 어디서 유해가 유실됐는지 알 길이 없다"고 말했다.해수부가 유실 방지를 위해 쳐놓은 유실방지망도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유골은 유실방지망이 아닌 다른 곳에서 발견됐다. 선체 좌현쪽엔 유실방지망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김 전 조사관은 "배가 물 속에 있었을 때야 선체가 누워 있으니 좌현쪽에 유실방지망을 못 쳐도 이해하지만 배를 올리고 사람이 들어가서 충분히 작업할 공간이 생겼는데도 아직 안 했다"며 "미수습자 수습에 대한 의지가 없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얘기했다.인양 과정에서 절단된 좌현 램프쪽과 지난해 첫 인양시도 때 11자로 찢어진 좌현 선수 쪽에도 유실방지망을 쳐두지 않았다. 좌현 선수 쪽에 파손된 부분의 폭은 약 15㎝, 길이는 각각 7m, 6.5m 정도다.게다가 유실방지망의 지름은 2.5㎝다. 이정도면 작은 유해들의 유실은 막기 어려울 수 있다. 유해발굴 권위자인 박선주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는 "손가락뼈나 발가락뼈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유실방지망 사이로 빠져나갔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