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3·1운동을 전 세계에 보도한 앨버트 테일러가 서울에서 살던 빨간 벽돌집 '딜쿠샤'
서울 종로구 행촌동에 있는 딜쿠샤. 사진제공=서울시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날이 서서히 풀리는 봄이 오고 있다. 곧 3월이다. 3월하면 두말할 것 없이 3·1운동이 떠오른다. 3·1운동과 관련해 기억해야할 외국인이 있다. 침략자 일본을 향해 들고 일어섰던 3·1운동을 전 세계에 가장 먼저 알린 미국인 앨버트 테일러다.앨버트 테일러는 구한말 우리나라에 들어와 무역업을 하면서 언론인으로도 활동했다. 그는 1919년 3·1운동이 발생하자 이 소식을 세상에 알렸다. 또 경기도 화성에서 발생한 제암리 학살사건(3·1운동 당시 일본이 제암리에서 주민을 집단 살해한 만행사건)을 전 세계에 최초로 보도했다.테일러는 이 일로 일제에 의해 수 개월간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는 고초를 겪었다. 1942년엔 조선총독부에 의해 미국으로 강제 추방됐다.서울 종로구 행촌동엔 그가 살던 빨간 벽돌집, 딜쿠샤(DIL KUSHA)가 있다. 딜쿠샤는 테일러가 1923년부터 일제에 추방당한 1942년까지 20년 간 살았던 곳이다. 딜쿠샤는 힌디어로 ‘희망의 궁전’을 뜻한다.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당시 서양식 건축양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근대 문화유산이다.딜쿠샤는 해방이후 방치되다시피 했다. 아무도 딜쿠샤의 역사를 몰랐고, 관심도 없었다. 그동안 10여가구가 무단 점유해 살았다. 2000년대 들어 딜쿠샤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2006년 앨버트 테일러의 아들인 브루스 테일러가 방한해 아버지와 딜쿠샤의 역사를 소개하고 관련 사진과 사료를 서울시에 기증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시는 최근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오는 2019년까지 딜쿠샤를 복원한다고 발표했다. 거주 당시 원형으로 복원해 역사 기념관과 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또 딜쿠샤와 덕수궁 중명전(1905년 을사늑약 체결장소), 옛 러시아 공사관, 미국공사관, 프랑스공사관 터 등을 연계한 도보관광 벨트도 조성한다.3월이 다가오자 3·1운동 정신을 느낄 수 있는 행사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당시 테일러와 함께 3·1운동을 취재했던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박사 전시회도 서울시청 로비에서 열리고 있다. ‘34번째 푸른 눈의 민족대표’로 불리는 스코필드 박사도 3·1운동과 제암리·수촌리 학살사건을 사진에 담아 전 세계에 전했다.전시회는 다음 달 9일까지 이어진다.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운영된다.
‘34번째 푸른 눈의 민족대표’로 불리는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박사의 전시회가 서울 중구 서울시청 신청사 1층 로비에서 열리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br />
김민영 기자 my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김민영 기자 my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