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비상체제] 비상경영체제 현실로…밑그림 다듬는 삼성

삼성 서초사옥 전경. (출처 : 아시아경제 DB)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 수감됨에 따라 삼성그룹이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 수감된 지 3일째인 19일 삼성그룹 콘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임직원들은 주말에도 출근해 특검수사와 관련 대응을 준비중이다. 최지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 등은 17일과 18일 이 부회장을 면회하기 위해 서울구치소를 찾기도 했다. 지난해 청문회에서 이 부회장이 해체하겠다고 밝힌 미래전략실은 당분간은 해체 수순을 밟지 않는다. 이 부회장에 대한 1심 선고때까지는 당분간 해체하지 않고 경영공백 리스크를 최소화하는데 집중한다는 얘기다. 사장단협의체와도 협업하는 비상경영 체제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삼성그룹은 지난 2008년에도 이건희 회장이 조준웅 특검 수사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회장직에서 물러나자 사장단협의체를 중심으로 주요 현안을 결정한 바 있다. 한 삼성그룹 관계자는 "당분간 쇄신안 마련과 미래전략실 해체는 미룬 채 급한 이슈를 해결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라며 "1심 선고가 되는 5월 말 이후에 다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부회장이 구속된 후 그룹 전체 컨트롤타워 역할은 최지성 부회장이 맡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도 삼성그룹의 '2인자' 역할을 하고 있었던 만큼 최 부회장이 그룹 전체 살림을 챙기고 잘 알고있기 때문이다. 최 부회장 역시 불구속 기소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제3의 인물이 컨트롤 타워를 맡을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삼성그룹 관계자들은 긴박한 상황인 만큼 제3의 인물이 컨트롤 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오히려 각 계열사 사장들의 역할이 더 커지고 그룹은 사장단협의회를 통해 관리한다는 얘기다. 삼성전자와 전자 계열사 전반은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총괄해 관리할 예정이다.이제 삼성그룹에게 남은 과제는 정기 임원 인사와 조직개편, 신규 채용 및 투자 등이다. 삼성그룹은 지난해 11월, 검찰 수사를 받기 시작하면서 매년 12월 단행한 정기 임원 인사 및 조직개편 일정을 연기한 상태다. 인사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조직개편 및 신규 채용, 투자 등의 경영계획 수립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