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트럼프 시대, 에너지시장 불확실성 커져…선제적 대응 필요'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자원개발, 기후변화, 신재생에너지 등 국내외 에너지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진단됐다. 민간 기업들이 미국에서 자원개발사업 진출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관련 협력을 강화하는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여의도 메리어트호텔에서 '제7차 에너지정책 포럼'을 열고 새롭게 출범하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을 긴급 점검했다고 밝혔다.이날 포럼에는 석유·가스, 자원개발, 전력, 기후변화,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신산업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석해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공약을 분석하고 국내외 에너지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을 심층 논의했다.포럼을 주재한 우태희 차관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은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방향과 여러 분야에서 대비돼 국내외 에너지시장에 상당한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그로 인해 에너지정책 환경의 불확실성이 매우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그는 "기후변화체제와 셰일가스 등 자원 개발 부문에서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인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며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 확대 등에 발맞춰 우리 민간 기업들이 미국에서 자원개발사업 진출 기회를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또 "신재생에너지 등 클린 에너지시장의 성장세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과의 태양광, 스마트그리드 등 클린에너지분야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며 "셰일가스 장기도입을 계기로 관련분야에서 포괄적 협력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가스공사는 미국 Cheniere사와 2017~2037년 연 280만t 규모의 장기도입 구매계약을 체결했다.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석유·가스시장에 가장 직접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라 전망하면서도,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신산업 부문은 세계적인 트렌드의 변화 속에서 보면 지나치게 비관할 필요가 없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유학식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에너지정책 공약은 미국내 석유, 가스 등 생산 확대와 각종 에너지, 환경 규제의 철폐를 통해 에너지독립과 고용확대 등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에너지정책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우 차관은 "미국의 정치체제상 대부분의 정책이 주정부 차원에서 시행되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정책 추진 과정에서 정책방향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세세한 정책에 집착하기 보다는 큰 정책 방향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며 "관련 전문가, 업계 등과 수시로 만나 미국의 정책방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