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최근 급격히 감소하면서 오는 12월 미국이 금리인상을 단행하면 신흥국 자본유출이 본격화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사상 최대 규모의 외환보유액을 기록하고 있는데다 일본과 통화스와프를 추진하는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선 상황이다.7일 관계부처와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중국 외환보유액 감소 규모는 지난 2분기 월평균 25억달러에 그쳤으나, 지난 7월과 8월에는 각각 41억달러, 159억달러로 크게 늘어났다. 특히, 8월 말 외환보유액은 3조1852억달러로 2011년 12월 말(3조1812억달러)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발표할 예정인 중국 9월 말 외환보유액도 8월 말에 비해 더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명의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월 말 외환보유액 중간 전망치는 3조1740억달러로 전달보다 110억달러 가량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자본시장에서는 포트폴리오 자금을 중심으로 자본유출도 증가추세다. 지난 7월과 8월의 자본유출액은 각각 850억달러, 720억달러로 6월(640억달러)에 비해 많아졌다. 중국의 자본유출 요인으로 위안화 약세와 캐리트레이드 자금 회수, 금융시장 불안 등이 꼽히고 있지만 위안화 환율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다른 요인들도 자본유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국제금융센터는 "SDR 편입 등 위안화 수요 증대로 외환보유액의 급감 가능성은 제한적이지만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내외금리차 축소와 이에 따른 위안화 약세 우려, 중국 부동산시장 냉각 등으로 자본유출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은 상존한다"고 전망했다.중국 외환보유액의 심리적 마지노선이 3조달러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10월과 11월 외환보유액 감소폭이 어느 정도 되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 중국 자본유출 규모가 확대될 여지도 함께 커진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미국 연방준비위원회가 올해 안에 50bp 정도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Fed 펀드 선물에 반영된 연내 미 금리인상 확률은 지난 5일 기준으로 62%다. 위안화의 SDR 편입이 마무리됨에 따라 중국 정부가 위안화를 본격적으로 절하할 경우, 중국내 자본유출과 금융시장 불안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한국은 자본유출에 대한 우려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지만, 선제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9월 말 외환보유액은 3777억7000만달러로 8월 말보다 23억1000만달러 많아졌다. 전달의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것으로, 세계 7위 수준을 지키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기대가 강해지면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달러화로 환산한 규모가 줄어들 수 있고 자금 유출도 나타날 수 있다"면서 "외환보유액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기획재정부는 한·일 통화스와프 재개를 협의 중이다. 지난 8월 한·일 재무장관회담에서 합의한 이후 실무 협의를 진행중이다. 일본은 8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이 1조2561억달러로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많은 외화를 보유한 나라다. 양국은 한때 통화스와프 규모를 700억달러 규모까지 늘렸지만 외교관계가 악화되면서 지난해 2월 중단된 상태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경상 수지 흑자, 외환보유액 등 대외건전성 문제는 어느 정도 준비돼 있다"면서 "통화스와프는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통화스와프를 많이 체결하자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말했다.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