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비시장 규모 4.8조 달러, 한국 14배대중 소비재 무역수지는 122억불 적자중국의 도시화, 소비트렌드 고급화 겨냥…족집게 마케팅 필요[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중국 소비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우리 기업이 이를 효과적으로 공략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13일 '중국 소비시장의 패러다임변화와 진출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중국의 소비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우리 기업의 중국 소비재 시장 공략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국의 소비재소매총액은 4조 8316억 달러를 기록해, 우리나라 3506억 달러의 13.7배에 달했다. 중국의 소비재소매총액은 2014년 전년대비 5051억 달러였다. 2015년 전년대비 4197억 달러가 증가했다. 곽복선 경성대 교수는 “우리나라는 2014년과 2015년 소비시장 규모가 각각 전년대비 188억 달러, 90억 달러 늘어난데 반해 중국 소비시장은 규모 확대폭이 매우 크다”며 “해마다 한국 소비시장이 한 개에서 1.5개정도 생기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곽 교수는 이어 “이처럼 중국의 소비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전 세계 기업들이 중국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지만 우리기업의 실적은 부진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대중교역에선 큰 폭의 무역수지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재 분야에선 적자 폭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무역수지흑자는 469억 달러였다. 소비재무역수지는 122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대중 소비재 수입은 50억 달러 증가했다. 반면 대중 소비재 수출은 10억 달러 증가한데 그쳤다. 특히 대중 수출에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5%대에 머물렀다. 지난해 기준으로 중국의 전체 소비시장(중국 소비재소매총액)에서 한국수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도 0.17%에 그쳤다. 곽 교수는 “물류비와 유통마진 등 중국내에서의 유통가격을 고려했을 때에도 중국 소비시장에서 한국수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0.5%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경연은 “최근 중국소비시장 여건이 한국기업 진출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지금이 중국 시장 진출을 확대할 기회”라고 말했다. 중국ㅇ,ㄴ 내수확대 중심으로 성장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소비의 86%를 차지하는 도시지역 주민 소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4개 직할시와 288개 지급시 가운데 100여개 도시가 일인당국민소득 1만 달러를 넘어섰다. 도심지역은 2만 달러에서 5만 달러로 올라갔다. IT통신, 웰빙, 문화 상품 등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는 중이다. 곽 교수는 “중국 소비시장에 진출하려면 무엇보다도 세분화된 지역·고객·가격 타게팅과 정확한 전략이 필요하다”며 “도시별 시장진출 로드맵을 작성해 지역세분화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중국소비시장에서는 계층·세대·성별에 따른 소비패턴의 차별화가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에, 1980년대 이후 태어나 인터넷세대로 자란 일자녀 세대가 소비시장 주력으로 등장한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