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차이나로 시장 급성장…대기업 이어 협력업체도 진출은행 자본·대출금 늘어…신한銀 상반기 지점 3곳 추가
<br />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 베트남 하노이에서 1시간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 신한베트남은행 박닌지점은 진출 3년 만에 박닌성에서 가장 규모가 큰 영업점으로 성장했다. '삼성전자 효과'를 톡톡히 누린 덕분이다. 박닌성은 삼성전자 제1공장이 위치한 곳으로, 2009년부터 1억2000만대 규모의 휴대폰이 이곳에서 생산된다. 신한베트남은행 박닌지점의 자산은 지난 2월 말 기준 6억4000만달러, 대출금은 1억2000만달러에 이른다. 신한베트남은행 현지 관계자는 "박닌지점은 삼성전자 효과를 노리고 2011년 말 개설된 곳"이라며 "2년 전부터 베트남 내 전 지점이 한국 대기업들의 진출 효과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베트남이 '포스트차이나'로 자리매김하면서 국내 은행들의 공략이 빨라지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대기업들이 중국에 이어 베트남을 글로벌 생산기지로 활용하면서다. 이들 대기업을 따라 약 300곳의 협력업체들까지 진출하면서 금융 수요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가장 큰 수혜를 입은 주인공은 2009년 법인으로 전환한 신한베트남은행. 지난 1년간 총자산이 13억9700만달러에서 18억7300만달러, 대출금은 6억8100만달러에서 8억5900만달러로 늘었다.
<br />
신한베트남은행은 지난달 19일 개점한 호찌민 내 안동지점을 포함해 현재 11개 지점을 보유하고 있다. 연내 북부 하이퐁과 타이응웬, 하노이 팜흥 등 지점 3곳이 추가된다. 하이퐁 지역은 LG전자의 생산기지 이전이 예정돼 있다. LG전자는 약 80만㎡(24만2000평) 규모의 '하이퐁 캠퍼스'를 조성해 2028년까지 약 15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타이응웬에는 삼성전자가 20억달러를 투자한 제2휴대폰 생산공장을 운영 중이다.신한베트남은행 관계자는 "대기업들의 생산공장이 들어서면서 최근에만 한국계 1, 2차 협력업체 진출의사를 타진해 왔다"며 "현지화·리테일 사업 확장에 많은 투자가 필요한 만큼 대기업들의 진출이 없었다면 애초에 기반을 다지기도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우리은행도 베트남 공략에 주력하고 있다. 1997년 베트남 하노이지점, 2006년에 호찌민 지점을 개점해 약 6억달러의 자산 규모로 운영 중이다. 최근에는 법인 설립을 위한 신청절차를 마무리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법인으로 전환이 되면 투자금이 더 늘어나 다양한 금융서비스가 가능하다"며 "향후 삼성전자나 LG전자 등 대기업의 직접적인 금융 수요부터 협력업체 종업원들의 급여 관리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이달 말 호찌민 지점 개점을 앞두고 있는 하나은행은 같은 그룹 내 외환은행의 하노이 지점과 함께 공동 마케팅을 계획하고 있다. 또 호찌민을 포함한 남부지역에 1800여개의 한국 기업들이 포진해 있어 이들을 상대로 영업전략을 짜는 동시에 대기업들의 베트남 투자 강화 기조에도 기대감을 갖고 있다. 호찌민 현지 하나은행 관계자는 "대기업들의 신규 시설 확대 등 수요에 대비해 기업대출을 제공하는 등 우량 자산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대기업들과 함께 들어올 300여개의 중소 협력체들을 대상으로도 예금, 대출, 외환 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 외에 NH농협은행도 하노이 사무소를 지점으로 전환하는 인가 신청을 최근 마무리 지었다. 비료사업 등 범 농협차원의 경제 사업과 연계해 시너지를 극대화하려는 전략이다.한편 지난해 말 베트남에 진출한 국내 은행은 총 10곳으로 신한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두 곳이 현지 법인을 보유하고 있다. 법인을 제외하고 개설된 국내은행의 현지 지점은 7개, 사무소는 8개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