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진국 함정' 극복해야 하는 과제도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우크라이나 사태가 한 고비를 넘기면서 유럽연합(EU)의 동유럽 회원국 폴란드는 안도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폴란드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염 효과에 대해 우려해왔다.그러나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폴란드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이라며 이를 잘 극복한 폴란드 경제는 제2의 전성기까지 맞게 될 것이라고 최근 보도했다.사회주의 국가였던 폴란드가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한 1989년 폴란드의 국내총생산(GDP)은 822억달러(약 83조1700억원)로 827억달러인 우크라이나보다 적었다.하지만 지난해 폴란드의 GDP는 5139억달러로 우크라이나(1755억달러)의 3배에 이르렀다. 지리적 위치나 인구구조, 경제 규모에서 유사점이 많았던 두 나라의 상황은 지금 완전히 달라졌다.러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한 우크라이나는 동유럽 최빈국으로 전락했다. 반면 성공적으로 EU에 편입된 폴란드는 세계 20위권의 경제 강국이 됐다.폴란드 경제의 운명을 가른 것은 1989년 경제개방과 함께 단행된 '충격요법'이다. 주변의 옛 소련 국가들은 사회주의 체제를 버리지 못하고 비교적 느리게 경제개혁에 나섰다. 그러나 폴란드는 시장경제 체제로 즉각 전환을 선포했다. 이후 통화 자유화, 국영 기업 개혁, 각종 보조금 철폐 같은 극단적인 조치를 취했다.그 여파로 폴란드 경제는 1990~1991년 극심한 침체를 겪었다. 하지만 이후 연간 평균 4%가 넘는 성장률을 꾸준히 기록했다. 특히 2004년 EU 가입 이후 폴란드의 GDP 성장률은 줄곧 EU 평균을 웃돌았다.유럽이 부채위기로 난관에 부딪혔을 때도 폴란드는 '위기 없는 나라'로 불렸다. 유럽은 지금 디플레이션 우려를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지만 폴란드는 올해 3%대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라 대(對)러시아 경제제재가 논의될 때 폴란드는 EU에서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 물론 경제력 덕이다. 현재 EU 최대 경제국 독일에 폴란드는 프랑스 다음으로 중요한 파트너다.그렇다고 폴란드 경제의 앞날이 밝기만 한 것은 아니다. 이코노미스트는 폴란드가 성장둔화, 투자 축소, 노동생산성 하락으로 대변되는 '중진국 함정'을 현명하게 극복해야 할 시점에 왔다고 분석했다.2004~2011년 폴란드의 연 평균 저축률은 GDP의 17%, 투자는 GDP의 21%다. 이는 모두 EU 평균을 밑돈 것이다. 폴란드의 연구개발(R&D) 지출은 GDP의 0.85%에 불과하다.폴란드 기업들의 생산성 수준은 EU 회원국 기업들의 60% 수준이다. 내로라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꼽을 수 있는 폴란드 기업이라곤 국영 광산업체 KGHM 뿐이다.고질적인 관료주의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현재 폴란드의 공무원은 46만명으로 사회주의 붕괴 직후의 3배에 이른다.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