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5% 무너진 印 향후 전망도 불투명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인도 최고 부자인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회장은 지난달 6일(현지시간) "인도 경제가 조만간 세계 질서에 대변혁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암바니 회장의 호언은 오래가지 못했다.영국에서 발간되는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인도의 올해 1·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0년만의 최저인 5% 아래(4.8%)로 떨어지자 인도 경제에 대한 낙관론이 자취를 감췄다고 최근 전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양적완화(QE) 출구전략에 대한 우려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간 결과다.인도 정부 부채의 리스크를 대표하는 인도 최대 은행 SBI의 신용부도스왑(CDS) 프리미엄이 치솟으면서 인도는 신흥국 가운데 가장 위험한 나라가 됐다. 인도 공직자들 입에서 "충격 받지 말라"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다.아직까지 인도 경제는 견고하다.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자금 유출이 제한적이다. 5월 중순 이후 국채시장에서 65억달러가 빠져나갔다. 하지만 정부의 대외 채무는 GDP의 21%로 매우 낮다.인도의 외환보유고도 내년 경상수지 적자와 단기 부채를 합친 규모의 1.6배로 안정적인 수준이다. 지난 5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9.3%다. 그러나 만성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인도로서는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2011년 이후 계속된 루피화 약세도 장기적으로 인도의 대외 경쟁력을 키워 제조업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그러나 루피화 약세가 단기적으로 인도 기업들의 달러 차입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에너지 수입 가격이 오르면서 인플레가 유발되고 정부의 유류 보조금 지출은 늘 수 있다.인도 경제의 최대 난제는 저성장이다. 수출, 소비, 고정투자가 모두 고전하고 있다. 자동차 판매, 산업생산, 구매자관리지수(PMI) 등 최근의 경제지표는 더 암울하다.특히 자본투자가 감소하고 있다. 총 국내 저축과 총 고정투자는 GDP의 30%로 견고한 수준이다. 하지만 저축의 절반은 금 같은 물리적 자산에 몰려 있다. 국가 재정 위기가 닥칠 경우 바로 쓸 수 있는 현금이 부족하다는 뜻이다.가장 큰 문제는 정치권이다. 인도 정부가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한 경제개혁안이 후퇴하고 있다. 정치권이 내년 총선을 의식한 탓이다. 세금 개혁은 총선 이후로 연기됐다. 석탄·전력 회사의 민영화는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다.이코노미스트는 "개혁안 후퇴로 인도 경제가 1991년 이전 정부의 간섭 시대로 돌아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연진 기자 gyj@<ⓒ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지연진 기자 gyj@ⓒ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