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스포츠의 경제효과
수상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활성화 방안을 속속 내놓고 있고 지리적 요건이 좋아 그 잠재성은 무한해 보인다. 관련 국제대회 유치로 활성화하는 것도 방안이다. 내년에 개최되는 세계조정선수권대회는 1700억원의 경제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먹고 살기 바빴던 1953년. 당시 1인당 국민소득은 67달러였다. 약 60년 후인 2011년,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를 열었다. 이는 약 29750% 증가한 수치다. 매년 495%의 성장률을 기록해 왔다는 계산이다. 지난 60년의 책장을 들춰보면 우리나라는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면에서 기적에 가까운 성장을 일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팍팍한 살림살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보릿고개의 숙명’은 완전히 떨쳐버렸고 사람들은 차츰 ‘여유’를 찾기 시작했다. 소득의 증가와 주 5일 근무가 정착되면서 책상머리에 앉아있던 사람들이 자연을 찾아 떠나기 시작했다. 종전에는 ‘일터’에 불과했던 곳이 ‘여가’를 즐기는 현장으로 변모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국민생활체육활동 참여 실태조사(2010)에 따르면 국민들은 실내보다는 자연과 함께 하는 다양한 레저스포츠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가 활동 행태 또한 스포츠 활동이 20.5%를 차지했는데 이는 2008년 8.65%에 그쳤던 것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전문가에 의하면 주 2일 연휴 시대가 정착되면서 야외 스포츠 활동 참여 비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 수상스포츠 메카 될 수 있나?이처럼 일터에서 눈을 돌리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자연히 레저산업도 함께 번성했다. 우리나라의 레저시장 규모는 2011년 48조 9348억원으로 전년도 46조7937억원보다 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비에 대한 씀씀이도 커졌다. 1인당 연간 레저비 지출액은 2011년 98만3000원으로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레저비는 외환위기를 맞았던 1998년 35만5000원으로 급감한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띠고 있다. 한편 일본의 레저비 지출은 1980년부터 2010년까지 2.8배 증가했지만 한국은 같은 기간 41.9배나 늘어났다. 또한, 1만 5000여 레저·스포츠업에 13만여 명이 종사하는 것으로 추정될 정도로 그 규모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정정택 국민체육공단 이사장은 “찌든 도심생활에서 벗어나 쾌적한 삶을 즐기면서 레저생활이 각광 받고 있다”면서 “레저스포츠는 단순한 시간소비가 아닌 개성이나 창조성 발휘를 통해 자아실현 및 자기계발을 추구하는 형태로까지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현재 국내에 성행하는 레저스포츠는 육상, 수상, 항공 분야에 60여 종목으로 연간 4000만 명 이상이 참여하고 있다. 이중 특히 눈여겨볼 만한 종목은 단연 수상스포츠 분야다. 우리나라는 1만7269km의 해안선, 3358개의 섬 등 풍부하고도 다양한 수상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 일본과 중국뿐만 아니라 대양항해용 요트가 많은 러시아와 직접 맞닿아 있기 때문에 세계 시장에서 비교우위 요소를 다분히 지니고 있다. 지리적 요건만 따져 봐도 주목의 이유는 충분한 셈이다. 게다가 성장 잠재력 또한 높다.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은 “현재 우리나라가 보유한 마리나산업의 성장 잠재력은 그 어느 나라보다도 높다”면서 “항만건설업, 수상레저장비산업, 관광업 등과 모두 긴밀히 연결돼 있는 수상산업이 산업들 간의 선순환 발전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가히 폭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상산업이 가진 잠재력은 지금 규모의 7배에 달한다. 현재 7000척에 불과한 레저보트수가 5만여 척으로 증대된다는 의미다. 잠재력을 십분 활용, 수상스포츠 산업 활성화에 성공한 사례는 이미 몇몇 국가에서 입증한 바 있다. 이를 테면 호주의 경우 골드코스트 마리나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세계 2위의 요트 생산국으로 도약했다. 싱가포르 또한 해외 슈퍼요트를 유치하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하여 전략적으로 마리나관광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청도, 상해와 같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마리나 개발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발판 마련도 됐고, 가능성도 충분하다. 이제 남은 것은 이를 얼마만큼 인식하고, 활용하느냐다. 깔린 멍석 위에서 잘 뛰어놀려면 ‘걸림돌’이 없어야 한다. 때문에 관련 정책 마련은 중요한 대목이다. 정부에서는 작년 12월 제7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마리나 산업 육성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은 수요저변을 확산하고 시설을 확충하며, 관련 서비스업을 육성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막 걸음마를 뗀 산업이기 때문에 극복해야 할 부분도 많은 게 사실이다. 권도엽 장관은 “마리나는 부유층의 호화 놀이시설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로 접근할 것이 아니다”면서 “내수를 살리고 고용을 창출할 국가경제의 신성장 동력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식 마련 후에는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이 뒤따라야 한다. 정정택 이사장은 “레저스포츠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며, 인프라 구축의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지향적 산업활동인 레저스포츠 분야에 대한 투자가 절실하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대규모 레저스포츠 국제행사 유치가 필요하다”면서 “대규모 국제대회 개최는 개최 국가 이미지나 관광 등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뿐만 아니라 범국가적으로 관련 종목의 붐 조성에도 크게 기여한다”고 분석했다. 레저스포츠관련 주요 국제대회를 유치 통해 국민들에게 수준 높은 경기력을 보여줌과 동시에 관련 종목의 대중화에도 크게 기여할 필요가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세계조정선수권대회, 1700억원 벌어들일 것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관광객은 1회 평균 14만5371원을 지출하는 반면에 외래관광객은 1일 평균 약 21만5350원을 지출하여 외래관광객이 지출하는 비용이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제행사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제스포츠계에서 스포츠행사개최의 강국으로 인식된 상태. 2018평창 동계올림픽을 유치함으로서 동 ·하계올림픽, FIFA월드컵, 육상세계선수권, F1 등 주요 메이저 국제대회를 모두 개최한 세계 6번째 국가가 된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천혜의 자연 환경과 수상산업 육성책, 국제스포츠행사 개최 경험 그리고 가능성. 네 가지 카드를 손에 들고 처음 맞이하는 국제 수상스포츠 경기가 바로 2013년 충주에서 개최되는 세계조정선수권대회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타당성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3 세계조정선수권대회 개최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약 1700억으로 추산된다. 총사업비 975억원의 약 2배에 달하는 비용이다. 건설, 도소매, 음식점 및 숙박, 문화 오락 등 전산업에 걸친 생산유발만 1159억원의 효과를 볼 것으로 점쳐진다. 충정권에만 국한했을 때는 836억원의 경제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유발에 따른 부가가치는 512억으로 분석됐다(충청권 386억원). 2013년 8월 25일부터 9월 1일까지 8일간 이어지는 이 국제대회를 위한 고용창출은 1440명으로 집계됐다. 산정이 모호한 기타 효과도 노려볼 수 있다. 충주는 이번 대회를 위해 새로이 몸단장을 시작했다. 우선은 대회가 개최될 탄금호 주변 수변 정화사업을 마쳤고 도로를 닦았다. 동서고속도로는 조기에 준공됐으며 충청고속도로는 예상보다 일찍 완공될 것으로 보인다. 또 북충주~가금 간 4차선 확포장 공사에는 10억이 반영되기로 결정된 상태다. 조직위 관계자는 이 같은 작업을 통해 지역발전 가속화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13 세계조정선수권대회 개최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약 1700억으로 추산된다. 총사업비 975억원의 약 2배에 달하는 비용이다.
대회 개최 시에는 충주의 국내외적 홍보효과도 톡톡히 볼 것으로 예상된다. 조직위 관계자는 “대회는 유럽, 미주 30억명 이상에게 TV로 중계 된다”면서 “이에 따라 기업도시, 유엔평화공원 등 투자 유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아직까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종목이기 때문에 기대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 대회를 계기로 조정 인프라 확대로 올림픽 등 국제대회 메달 획득의 가능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는 의미다. 그 밖에도 마리나 센터, 전망대 등 잔존시설 명소화로 꾸준한 관광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으며 시민화합의 계기 또한 마련할 수 있다.이코노믹 리뷰 박지현 jhpark@<ⓒ 이코노믹 리뷰(er.asiae.co.kr) - 리더를 위한 고품격 시사경제주간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간국 박지현 jhpark@ⓒ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