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포럼]유전자 판별법, 한우 가려낸다

우리나라 축산물 중에서 쇠고기 하면 거의 모든 국민이 아마 한우 고기를 머릿속에 그리며 입안에서는 군침이 고일 것이다. 그만큼 우리나라에서 한우 고기는 오랫동안 국민의 사랑을 받으면서 맛의 대명사로 그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오죽하면 '한돈'이라는 말도 생겨났을까 싶다.  한우는 우리나라 고유의 유전 자원으로 그 맛이 일품이다. 외국 사람들도 먹어본 사람이라면 한우의 맛에 대해 호평을 서슴지 않는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과거 어느 순간부터 젖소 고기가 한우 고기로 둔갑되더니 수입 쇠고기까지 한우로 둔갑돼 판매되는 경우가 발생한 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와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개시되면서 다시 한번 우리나라 농업에 대한 걱정스러운 말들이 나오고 있다. 한ㆍ중 FTA가 발효되면 농수축산품 등이 중국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리고 이로 인한 농수축산업의 피해는 한ㆍ미 FTA보다 더 클 거라는 주장이다. 비록 한ㆍ미, 한ㆍ중 FTA만의 문제는 아니다. 현재 협상 중에 있는 FTA만도 캐나다, 멕시코, 호주 등이 있고 앞으로는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00년대 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한우 고기 유통 과정의 투명성을 높여 소비자들이 믿고 먹을 수 있는 한우 고기 시장을 만들어 국내 한우 산업을 보호하고자 한우와 젖소를 판별하는 유전자 판별법을 개발했다. 이후 여러 나라들과의 FTA 후 예상되는 쇠고기 시장 개방에 대비하기 위해 수입 쇠고기와 한우 고기를 판별하는 유전자 판별법도 개발했다.  이 기술의 개발로 한우 판별 첫해인 2002년에는 의뢰된 시료의 16.8%가 한우가 아닌 고기로 판명됐지만 2003년 8.1%, 2004년과 2005년에는 1.9%로 매년 줄어들었다. 급기야 2006년 이후에는 1%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 같은 연구 성과에 힘입어 2006년 국가우수연구성과 100선에 선정됐고 현장에선 한우 둔갑 판매가 급격히 줄어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한우 고기를 사 먹을 수 있게 됐다. 이처럼 유전자 분석 기법은 한우를 판별하는 데 이용될 뿐 아니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소 및 쇠고기의 이력 관리에도 핵심적인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이력 관리란 생산ㆍ유통ㆍ판매 등 단계별로 정보를 관리해 안전성 등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제품을 추적, 원인 규명 및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제도로 축산물에서는 소와 쇠고기에서 시행하고 있다. 소의 경우 생산지, 도축, 유통 단계에서 DNA를 분석하고 그 정보를 저장해 활용한다.  한우 판별을 위한 분석법이 단속을 위한 목적이라면 이력 관리에 활용되는 분석법은 말 그대로 생산ㆍ유통ㆍ판매까지 단계별 정보 관리를 위한 방법이다. 또 이력 관리의 한 부분으로 친자 감별도 하고 있는데 여기에도 유전자 분석 방법이 활용된다. 이렇듯 유전자를 활용한 분석법은 우리 한우 산업을 지키는 것뿐 아니라 소비자들이 한우 고기를 안전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우리들이 어렵다고만 생각하고 있던 유전자, 그 유전자를 분석하는 기술이 언제부터인가 우리 바로 옆에서 우리의 먹거리를 지켜주는 '지킴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자주 가던 한우 고깃집이 갑자기 문을 닫으면 한우 고기를 속여 팔았다는 소문이 바로 돌았다. '아! 이거 그동안 한우 고기가 아닌 고기를 한우 고기라고 먹었단 말인가!'라고 생각했다. 수입되는 외국 쇠고기에 맞서 우리의 건강을, 우리의 것을 지키기 위해서는 기술적 뒷받침도 중요하지만 생산부터 우리 식탁에 오르기까지 관련 기업이나 상인들이 진정으로 국민의 건강을 생각하는 상도를 지키는 게 우선이 아닐까 싶다.장길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사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