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 최근 몇 년 간 미국 국방부 등 정부기관과 주요 기업들이 당한 사이버공격의 ‘배후세력’으로 중국을 의심해 왔던 미국이 본격적으로 대응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13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그동안 해킹 사건을 조사해 온 미 정보기관들은 사이버공격 용의자 중 상당수가 중국인 그룹이었으며, 대부분 중국 군부의 후원 아래 움직였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이같은 판단 아래 미국은 구체적인 대응방안 마련에 들어갔으며, 2주 전에는 미 정부 관계자들이 중국측과 만나 경제스파이 행위에 대한 외교적 절차에 나설 것임을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중국 인민해방군(PLA)은 전략적으로 사이버전쟁 능력 강화를 위해 폭넓게 해킹 ‘작전’을 벌여 왔으며, PLA와 연계된 약 12개 그룹이 사이버공격의 주범인 것으로 미 정보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이외에 대학교 등을 기반으로 한 그룹이 6~8개 존재하며, 이들도 군부와 관계가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관계자는 전했다.WSJ는 전직 정부관리를 인용해 미 국가안보국(NSA)이 이들 해킹그룹 구성원들의 인적사항도 다수 확보했으며 이는 미 정부가 중국 정부에 더 직접적으로 이 문제를 거론하거나 사이버공격에 반격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워싱턴 소재 외교전문 싱크탱크 국제전략연구센터(CSIS)의 정보보안 전문가로 오바마 행정부의 자문도 맡고 있는 제임스 루이스 연구원은 “PLA의 ‘연막작전’은 실제로 극소수의 그룹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면서 “그동안 NSA 등 정보기관은 전자전·인적네트워크 등 정보전력을 동원해 상당한 수사 진전을 이뤘으며, ‘흑막’의 뒤에 중국 군부가 있다는 증거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미 정부는 지난 십여 년 간 백악관을 비롯해 미국 내 정부기관과 기업체들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목표로 한 해킹 공격의 배후가 중국이라고 의심해 왔다. 지난 10월에는 미국 인공위성 네트워크에까지 사이버공격 기도가 발생했다는 의회 보고서가 공개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중국은 강하게 부정하며 “중국 정부는 해킹 근절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WSJ는 최근 미·중관계가 무역불균형과 위안화 절상 등 경제 현안, 아시아지역 영향력 확대 등 외교 문제 등을 놓고 긴장이 고조되고 있으며 사이버공격 문제도 이같은 요인 중 하나라고 지적하면서, 미국 정부가 외교적 대응에 나선다고 해도 미 국채의 최대 보유국인 중국과의 관계 악화는 감수하기 쉽지 않은 일이라고 보도했다.김영식 기자 grad@<ⓒ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김영식 기자 gra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