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앤비전]이젠 국내주식에 투자할때

국내외에 걸쳐 초저금리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금융시장의 유동성이 풍부해졌다. 그러나 세계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지나치게 커져서 투자대상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의 단기부동자금 급증이 이를 반영한다. 따라서 어느 때보다도 현명한 투자전략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투자의 성패를 좌우하는 시점과 그 대상의 선택에 대해 간략히 짚어보고자 한다.  우선 유럽 재정위기는 최근 들어 어느 정도 실마리를 찾아가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유럽연합(EU)은 그리스에 대해 미리 계획한 프로그램에 따라 사실상의 국가부도를 용인하고 채무부담을 덜어주면서 구조조정을 끌어내려 한다. 국가채무를 최대한 탕감해주되 이로 인한 유럽 은행의 대규모 손실과 자본건전성 악화에 대비하려 한다. 이를 위해 독일과 프랑스가 주도해 유럽재정안정기금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은행의 증자는 우선 각국 정부가 책임지되 재정이 취약한 국가의 경우 안정기금이 개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주요은행의 증자 및 재정안정기금의 확대 규모가 향후 금융시장을 좌우하는 관건이 될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 등 주요 연구기관은 2000억유로 이상의 증자와 2조유로 정도의 기금증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리스 문제 해결에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히면 시장의 관심은 포르투갈로 옮겨갈 것이다. 지금으로서는 포르투갈도 그리스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그리스 과제의 해결은 유동성보다 경제의 구조적 부실 치유에 달려 있는 만큼 오래 걸리는 난제다. 따라서 포르투갈 문제도 상당기간 금융시장을 어지럽힐 것이다. 그러나 스페인과 이탈리아는 EU의 지원을 등에 업고 위기를 모면할 수 있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다음으로 점검해야 할 사안은 미국의 경제회복과 재정적자이다. 경제회복의 징후는 주택가격의 하락세 진정, 실업률 하락, 그리고 민간소비 증대 등의 순으로 나타날 것이다. 미국의 재정적자문제는 정치적 사안이므로 백악관과 의회의 지도력 회복이 관건이며 중기적으로 정부전망처럼 누적채무가 국내총생산(GDP)의 120% 이내에서 통제되는지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국경제는 지금까지의 정책방향이나 통계로 보아 부동산거품, 은행부실자산, 지방정부 부채 등 잠재적 걸림돌이 특별히 불거지지 않고 연착륙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 중 부동산문제는 최근 가속화된 인플레이션과 맞물려 있어 난항을 겪을 것이다. 이상의 세 가지 사안을 모두 고려하면 앞으로도 상당기간 결정적인 투자시점을 확인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장 지수의 변동범위를 파악하고 가능한 한 여러 시점으로 나누어서 길게 분산해서 투자해 나가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면 투자대상으로 주식, 채권, 예금, 부동산 그리고 금과 같은 천연자원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 주요 선진국은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가 진정되면서 경기 재침체 예방을 경제정책의 최우선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사상 유례가 없는 초저금리가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어서 채권투자를 선뜻 늘리기는 어려워 보인다. 또한 최근 급등했던 금 등 천연자원은 투기세력들이 시장에서 대거 철수하면서 급락해 투자위험이 매우 커졌다. 부동산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아직 바닥을 확인하기 이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로 볼 때 자산운용은 예금 등 안정적 금융자산에 바탕을 두면서 주식에 대한 시점분산, 적립식 투자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다만 환율전망을 감안할 때 해외보다는 국내주식에 주력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올해 말 국내에 도입되는 헤지펀드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유의 기동성과 다양한 투자전략 등으로 새로운 바람을 몰고 올 가능성도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김상로 KDB산업은행 연금부행장<ⓒ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