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의 합참의장 정밀타격부대 방문 왜?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군 당국이 천안함사태 대북제재발표이후 북한의 군사적도발이 예상됨에 따라 대비책을 강화하고 나섰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30일 "이상의 합참의장이 지난 23일부터 닷새간 연속으로 육.해.공군, 해병대 전.후방 부대를 순시하고 철저한 대비태세를 강조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상의 의장의 방문부대는 정밀타격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로 철저한 대비태세를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장이 방문한 부대는 지난 2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경비대대와 남북출입관리소(CIQ), 25일 대구의 공군 남부전투사령부와 11전투비행단, 육군 유도탄사령부, 26일에는 서산의 제20전투비행단과 서해 연평부대, 해병 2사단을, 27일에는 강원도 동해의 해군 1함대와 양구의 21사단을 연이어 찾았다.북한이 제재조치에 반발해 군사분계선(MDL) 일대에 재설치될 대북 심리전 수단을 격파하겠다고 공언하고, 개성공단의 우리 근로자 인질사태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특전사에서 전술토의가 진행된 것은 북한에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또 이상의 합참의장은 29일 북한이 천안함 사태에 대한 군사적도발을 대비한 전술토의를 통해 북한의 개성공단 인질사태, 대북 심리전 수단에 대한 격파사격 등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30일 "주제내용에 관해서는 언급할 수 없지만 군에서도 천안함사태이후 다양한 시나리오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700여명이 넘는 인질을 구출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대테러작전은 불가능하다"며 "개성공단을 점령하고 우리 국민을 지켜야하는데 이 경우 전면전은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김태영 국방부장관도 25일 청와대 국민원로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개인메모가 일부언론 사진기자들에 의해 공개됐다. 메모에는 개성공단내 인질사태에 대한 조치방안강구라고 적은 뒤 대규모 인질시 공중통제와 미 전력대규모전개라는 글자를 적었다. 개성공단내 체류중인 남측근로자를 상대로한 인질극사태가 일어날 경우 대규모 군사작전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특히 오는 8월에 실시된 한미연합연습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때 개성공단 대규모 인질사태를 포함한 인질구출작전계획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인질구출작전때는 주한미군의 아파치 헬기(AH-64D)와 특수작전용 헬기(MH-47,MH-60), F-16 전투기 등을 동원해 북한 공군 전력을 무력화하고 제공권(制空權)을 장악한 다음 양국 특전사 소속 특공요원을 투입할 수 있다는 계획이다. 또 전술토의에서는 북한이 전투서열 1번으로 최정방에 배치한 특수부대에 대한 협의도 이뤄졌다. 북한은 현재 최정방에 전체 병력 5만여명인 7개 경보병(특수전병력) 사단을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낙규 기자 if@<ⓒ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