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삼성그룹이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엎드려 절이라도 해야할 판이다.유래를 찾기 힘든 이벤트인 삼성생명 상장의 단초를 제공한 것이 윤 장관이기 때문이다.윤 장관은 금융감독위원장 재임 시절인 지난 2008년 특유의 뚝심으로 생보사 상장 허용을 추진했다. 과거 누구도 해내지 못했던 '난제'를 직접 풀겠다고 나섰다. 상장차익의 계약자 배분을 놓고 시민단체가 목소리를 높이는 상황에서도 그는 적극적으로 정책 결정을 추진했다.생보사 상장 논의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생보사들이 이익을 내고 기업 공개요건을 갖추면서 시작됐다. 교보생명과 삼성생명이 1989년과 1990년에 상장을 전제로 자산재평가를 실시했지만 생보사 상장은 이뤄지지 않았다. 외환위기를 거치며 금융감독위원회가 출범한 이후 생보사 상장 문제가 다시 거론됐지만 생보 상장을 허용한 위원장은 없었다.이헌재 초대 금감위원장이 상장차익의 일부를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내용의 상장방안을 마련하려다 업계의 반발에 부딪쳤고 이용근 전 금감위원장은 중도 퇴임하면서 이근영 위원장이 숙제를 떠안았다. 그 역시 상장 허용을 전제로 재검토 지시를 내렸지만 4~5개월 만에 슬그머니 '없었던 일'로 만들었다.참여정부들어 이정재 위원장이 2003년 4월에 "8월까지 상장안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하며 기대를 받았지만 역시나 업계와 시민단체간의 접점을 찾지 못하고 그해 10월 포기했다.윤 장관은 이전 위원장등과 다른 행보로 생보사 상장 허용을 이끌어냈다. 상장자문위원회를 객관적인 인사들로 구성하고 이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등 투명한 절차를 거쳐 상장 해법을 마련하며 특혜 시비를 일축했다. 아울러 생보사들에는 사회적 책임을 요구했다.윤 장관의 '결단'덕에 지난 2009년 동양생명보험이 생보사로는 처음 상장에 성공했고 올해 대한생명에 이어 삼성생명까지 상장할 수 있었다.백종민 기자 cinqang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백종민 기자 cinqang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