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신축 공공건축물 '에너지효율 1등급' 적용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서울 지역에서 신축되는 모든 공공건축물은 '에너지효율 1등급'의 기준이 적용된다.서울시는 업무용 청사를 ㎡당 연간 에너지 사용량 300kWh 미만으로 설정하는 등 신축하는 모든 공공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을 40% 이상 줄일 수 있도록 건설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에너지 사용량 300kWh/㎡·년은 현재 사용 중인 일반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 400~600kWh/㎡·년에 비해 평균 40% 절감하는 수치로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해야 건설할 수 있는 에너지 사용량이다.시는 공공청사에 대해 에너지효율 1등급을 취득하고 미술관, 병원, 박물관, 아동시설 등 모든 공공건축물도 에너지효율 1등급 수준의 에너지 40% 이상 절약 건축물로 건설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설계 단계부터 시공, 준공, 사용 등의 단계까지 철저히 확인한다는 방침이다.또 현재 설계가 진행중이거나 공사 중에 있는 17개 공공건축물도 기존 사업비의 약 5.5%인 600억원의 추가 사업비를 투입, 설계변경과 공사기간 연장을 통해 저에너지 친환경 건축물로 건설한다.시는 민간건축물에 대해서도 2007년 8월부터 시행 중인 '저탄소 그린에너지 건축물 설계 가이드라인'을 강화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도록 적극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민간건축물의 경우 공동주택과 업무용 건물은 에너지효율등급 2등급 이상으로 유도하고 기타 민간건축물은 에너지성능지수(EPI)를 기존 74점 이상에서 86점 이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시는 이 기준을 만족할 경우 ▲신축 건물의 취득세.등록세 5~15% 감면 ▲공동주택의 용적률 완화 ▲친환경 건축물 인증비용 지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해 민간건축물의 에너지효율을 높일 예정이다.아울러 시는 건축물 에너지 절약을 위해 가장 중요한 외벽과 지붕의 열손실 방지를 위한 단열기준(열관류율)을 공공, 민간부문 모두 법적 기준보다 큰 폭으로 강화해 적용할 계획이다.서울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공공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 목표치를 기술적 한계치인 '120kWh/㎡·년'을 달성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민간건축물의 가이드라인 수준을 보완하여 궁극적으로는 서울시 에너지 총량제를 시행하도록 관련 규정 및 제도를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시는 2009년 완공한 청와대 사랑채를 현재 다른 공공건축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보다 40% 절약하도록 건설했고 IT 콤플렉스, 한성백제박물관, 유스호스텔 등 건물 7곳은 에너지 절약 40% 설계로 시공 중에 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