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파업으로 인한 의료 공백 우려에도 불구하고 국내 제약업계가 3분기에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했다. 제약전문지 히트뉴스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액 500억원 이상 상위 제약사 33개사의 3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10% 성장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33%, 41% 증가하며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특히 국내 제약업계를 대표하는 상위 5개사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업계 1위 유한양행은 자체 개발한 폐암 신약 '렉라자'의 미국 기술수출 성과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2위부터 5위를 차지하고 있는 종근당, GC녹십자, 대웅제약, 한미약품도 1.7%에서 10% 사이의 견고한 성장률을 보이며 시장의 기대에 부응했다. 이들 5개사의 순위는 최근 수년간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어 업계 선두그룹의 입지가 공고함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상위권 기업들 중에서도 개별적인 도전과제에 직면한 곳들이 있었다. 한미약품의 경우 가족 간 경영권 분쟁이 진행되는 가운데서도 1.7%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종근당은 주력 제품 중 하나인 위식도 질환 치료제 '케이캡'의 HK이노엔과의 공동판매 계약이 종료되고 판매권이 보령제약으로 이전되면서 실적 감소를 피하지 못했다. 다만 이러한 개별 이슈에도 불구하고 매출 성장세는 유지했다는 점에서 대형사들의 기초체력은 여전히 견고한 것으로 평가된다.
상위 33개사의 전반적인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중소형사들의 실적 부진은 뚜렷했다. 분석 대상 기업 중 절반에 해당하는 16개사는 당기순이익이 감소하거나 손실이 확대됐으며, 14개사는 영업이익이 악화됐다. 특히 3개사는 영업이익이 적자전환했고, 1개사는 적자가 지속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이런 가운데 일동제약은 유일하게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하는 데 성공해 눈길을 끌었다. 이러한 양극화 현상은 의료계 파업으로 인한 진료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능력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양극화 현상이 의료계 파업의 직접적인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전공의들의 사직으로 인해 상급종합병원의 진료가 감소하면서, 환자들이 중소형 병원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했고, 이에 따라 제약사들의 영업 전략도 변화가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대형 제약사들은 풍부한 영업 인력과 조직력을 바탕으로 상급종합병원에서 중소형 병원으로 영업 방향을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었던 반면, 중소형 제약사들은 제한된 영업 자원으로 인해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주목할 만한 점은 수술 관련 필수 의약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제약사들의 선전이다. 마취제 전문 제조사인 하나제약은 매출 증가를 기록했으며, 수액제 전문기업 대한약품은 매출과 이익 모두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이들 기업의 성과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도 필수 수술이 중단되지 않고 중소형 병원으로 이전된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응급 수술이나 제왕절개 등 필수 의료 행위에 사용되는 마취제, 수액제, 지혈제 등의 수요는 꾸준히 유지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의료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필수 의약품 시장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제약업계 투자자들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나 건강보험공단의 통계 자료를 통해 수술 건수와 처방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각 의료기관의 진료 실적과 처방 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또한 각 제약사의 공시자료와 재무제표를 통해 상세한 실적 내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제약 전문지의 분석 자료도 투자 판단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다만 제약산업의 특성상 전문적인 용어와 복잡한 시장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투자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업계는 4분기에도 이 같은 실적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계 파업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중소형 제약사들의 실적 부진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영업력과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형사들의 경우, 변화된 의료 환경에 대한 대응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어 업계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편집자주
이동혁 기자 d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