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민 사장, '턴오버 비율 낮춰 장기수익 올릴 것'

"펀드 내에서 주식을 사고 파는 '턴오버(Turn over)' 비율을 낮춰 장기수익률을 높이는 운용사로 만들겠다."
조재민 KB자산운용 신임대표(사진)는 6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 간담회에서 "수탁고 규모의 경쟁은 큰 의미가 없고, 장기 수익률을 내는 질적인 경쟁에서 선두를 지켜나가다보면 1위를 차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그는 "대부분 국내 운용사들의 경우 턴오버 비율이 150~200%로 주식 종목을 빠르게 사고 팔면서 단기적인 성과에 치중하고 있다"며 "그러나 KB자산운용은 70~80% 비율을 유지하면서 장기적인 기업가치를 중시하면서 장기 수익률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조 대표는 또 "운용프로세스에 있어 단기 유행을 좇지 않기 위해 운용인력의 성적평가도 3년 장기수익률로 평가하는 등 투자문화를 장기수익률에 포커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 결과 주식형 펀드 운용사 랭킹에서 1년, 2년, 3년 수익률 모두가 꾸준히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또, 온라인 펀드시장이 팽창하는 가운데 온라인 전용 펀드를 만들어 고객의 니즈를 맞춰나간다는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2006년 이후 펀드업계의 투자지평이 급속히 확대돼 해외투자, 파생상품투자, 커머디티투자, 다양한 대체투자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조 대표는 "국민은행의 경우 인터넷 뱅킹 가입자들이 1100만명을 넘어섰고, 투자자들 또한 온라인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어 선취 수수료도 없고, 수수료가 저렴한 온라인 전용 펀드를 내놓기로 했다"며 "온라인 채널을 통해 투자할 수 있는 KB 올스타 엄브렐러 펀드 시리즈'를 판매한다"고 밝혔다.특히,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사고가 불거져 나왔던 프로젝트파이낸싱(PF)형 펀드에 대해 "자산운용사들이 운용해서는 안될 상품을 운용해 문제가 발생했다"며 "따라서 KB자산운용은 향후 실물매입형이나 매입임대형 부동산 상품만 내놓거나 대출형 PF상품은 내놓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신한BNP파리바투신운용과 SH자산운용과의 합병, 현대자산운용의 운용업 진출 등으로 업계 판도가 변화하는 것에 대해 "미래에셋이 펀드시장이 급격히 팽창하면서 업계 1위에 올라왔지만 성적면에서 1위인지는 의문이 든다"며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성적을 감안할 때 미래에셋의 지위는 좀 더 내려가야 정상적"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하반기 전망과 대해서는 "경기 악화 이후 반등이 일어나는 시점에서는 '더블딥' 현상이 있기 마련이고 다만, 모양 추세선만 변동이 있다"며 "코스피지수가 1500선~1600선까지 오른 후 다시 추가 조정이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하락폭은 1200~1250선으로 지난해 금융위기 보다 다소 완화되고 이후 완만한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구경민 기자 kk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구경민 기자 kk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