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상암센터 방문해 데이터센터 규제 애로 청취
전력확보·인허가 지연 등 업계 고충에 '특구 지정' 요청도
AI 인프라 투자 확대·데이터센터 특별법 필요성 공감
이재명 정부의 정책 밑그림을 그리는 국정기획위원회가 인공지능(AI) 기반시설의 핵심인 데이터센터 산업 육성을 위해 민간기업 세액공제 확대를 비롯한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국정기획위원회 인공지능(AI) 태스크포스(TF)와 규제합리화 TF는 2일 오후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삼성SDS 상암 데이터센터를 방문해 데이터센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송경희 AI TF 팀장, 오기형 규제합리화 TF 팀장 등 위원들은 데이터센터 핵심 인프라를 둘러보고, 업계·학계·협단체 관계자들과 규제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서는 AI 모델 학습과 운영에 필수적인 고성능 GPU 서버 등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업계는 전력계통영향평가 제도의 운영 미숙, 인허가 지연 등으로 데이터센터 건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특히 전력 수급 문제로 기업이 전력이 있는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는 현실을 지적하며, 데이터센터 건립이 용이한 '특구' 지정을 요청했다.
또한 참석자들은 데이터센터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특별법 제정과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 필요성에 한목소리를 냈다.
송 팀장은 "AI 데이터센터를 차세대 국가 사회간접자본(SOC)으로 보고, 민간 투자 세액공제 확대와 같은 공약 사항을 국정과제로 반영하겠다"며 "대한민국의 AI 인프라 확충과 진짜 AI 강국 실현을 위한 구체적 정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오 팀장도 "AI 3대 강국 진입을 위해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와 투자계획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번 간담회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AI 고속도로'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이 대통령은 AI 인프라를 국가적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고, 민간 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세액공제 확대와 데이터센터 규제 개선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