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신용평가 서비스 동향·사례 공유
이근주 핀산협회장 "국회·당국·산업계와 협력"
인공지능(AI) 중심의 디지털 금융이 확산하는 가운데 대안신용평가 관련 표준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금융권 제언이 나왔다.
정유신 AI디지털금융포럼 의장은 한국핀테크산업협회와 한국평가데이터(KODATA)가 3일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 콘퍼런스센터에서 개최한 'AI를 활용한 신용평가'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정 의장은 현 대안신용평가의 문제점으로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설명 가능성 부족, 데이터 편향, 법·제도 미비 등을 지적했다.
정 의장은 "정보 활용 내역 열람권 부여, 설명 가능한 AI(XAI) 기술 도입, 데이터 다양성 확보 등이 필요하다"며 "특히 대안신용평가 전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AI 활용 신용평가의 발전방향'을 주제로 기조 발표를 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AI 기반 신용평가는 알고리즘 편향에 따른 공정성 문제, 복잡한 AI 모델의 불투명성, 평가지표의 한계 등 여러 과제를 풀어야 한다"며 "AI 특성에 맞는 유연한 규제 체계와 기술 표준화, 정보 비대칭 해소 방안이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선임연구원은 기업 내 AI 거버넌스를 구축해 AI의 잠재적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포럼에 참여한 PFCT, 고위드, 크레파스솔루션, 한국평가데이터 등 기관이 차례로 AI를 활용한 신용평가 및 대안정보 서비스 사례를 발표했다.
이수환 PFCT 대표는 최적의 AI 기반 알고리즘 조합을 통한 신용평가 모델 구축 사례를 소개했다.
위정환 고위드 총괄은 실시간 데이터 기반 리스크 측정 모델을 설명했다.
김상빈 크레파스솔루션 실장은 데이터를 AI로 패턴화해 개발한 스코어를 적용한 대안신용평가 서비스를 발표했다.
나은정 한국평가데이터 데이터사이언스센터장은 데이터베이스(DB) 기반 부동산 정보 서비스 '리얼탑'과 금융결제원과 협업한 대안정보 서비스를 각각 소개했다.
종합토론에서는 이호동 전 한국평가데이터 대표가 좌장을 맡았다. 토론에는 이효진 8퍼센트 대표,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박사, 우치수 토스 신용데이터산업본부 본부장, 서승범 한국신용정보원 기업데이터부 부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이근주 핀산협회장은 "이번 포럼이 AI 신용평가의 기술적·제도적 과제를 함께 고민하고 디지털 금융 인프라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핀산협도 AI 신용평가를 비롯한 디지털 금융 혁신이 안정적으로 제도화되도록 국회, 금융당국,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지금 뜨는 뉴스
홍두선 한국평가데이터 대표는 "금융 산업의 패러다임이 AI를 만나 급격하게 변하는 상황에서 포럼이 신용평가의 미래 방향성과 구체적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